"워싱턴선언 극악한 산물, 빈껍데기" 北 김여정, 말 꼬였다

머니투데이 김지훈 기자 2023.04.29 11:28
글자크기

[the300](상보)

(워싱턴 로이터=뉴스1) 김성식 기자 =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6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국빈만찬을 앞두고 조 바이든 대통령과 부인 질 바이든 여사와 나란히 서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3.04.26.  ⓒ 로이터=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워싱턴 로이터=뉴스1) 김성식 기자 =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6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국빈만찬을 앞두고 조 바이든 대통령과 부인 질 바이든 여사와 나란히 서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3.04.26. ⓒ 로이터=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북한 정권이 윤석열 대통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한미간 핵협의그룹(NCG·US ROK Nuclear Consultative Group)을 포함한 대북 핵 억제전략인 워싱턴선언을 발표한 것에 빠르게 동요하는 신호가 감지됐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29일 조선중앙통신에 발표한 '입장'에서 워싱턴 선언을 겨냥해 "미국과 남조선집권자들이 조작해낸 '워싱톤(턴)선언'은 가장 적대적이고 침략적인 행동 의지가 반영된 극악한 대(對) 조선 적대시 정책의 집약화된 산물"이라며 워싱턴 선언의 위협성을 부각했다. 워싱턴 선언을 북한의 추가 도발 명분으로 삼으려는 듯 "앞으로 더욱 강력한 힘의 실체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런데 같은 글에서 김 부부장은 윤 대통령을 겨냥해 "미국으로부터 빈껍데기 '선언'을 '배려'받고도 '미국의 확고한 확장억제 공약을 전적으로 신뢰한다'고 감지덕지해하는 그 못난 인간의 사유세계를 어찌 쉽게 들여다볼수 있겠냐"며 워싱턴 선언이 별다른 위협이 아니라고 했다. 워싱턴 선언이라는 하나의 선언을 두고 '침략 의지 집약화 산물'과 '빈껍데기 선언'이라는 모순된 비난에 나선 것이다.



김 부부장의 이번 담화 내용이 논리적 구색을 맞추지 못하고 들쑥날쑥한 것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맞선 한미 행보가 북한 정권에 안기는 압박감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북 소식통은 "김 부부장 담화가 기본적으로 정치(精緻·정교하고 치밀)하지 않은데 오늘은 더 심한 것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김 부부장은 윤 대통령에 대해 '못난 인간'이라고 비난하며 한미 정상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북한의 정권 종말을 경고한 것을 겨냥해 '늙은이의 망언'이라며 과거 담화처럼 막말성 표현도 실었다.
김여정 제1부부장이 2019년 3월 2일 베트남 호찌민의 묘소 헌화식에 참석한 모습. [평양=AP/뉴시스]김여정 제1부부장이 2019년 3월 2일 베트남 호찌민의 묘소 헌화식에 참석한 모습. [평양=AP/뉴시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김 부부장 담화가 나온 시점에 대해 "예상보다 매우 빠르다"며 "윤 대통령의 방미 일정이 진행 중이고 워싱턴선언 및 공동성명 발표 직후이며 아직 한국내 방미 평가가 다 나온 상황이 아니다"고 했다.

통일부는 이날 김 부부장 담화문을 겨냥한 입장문을 내고 "이번 한미정상회담에 대해 적반하장격으로 억지주장을 했다"며 규탄한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북한은 앞으로도 계속 잘못된 길을 간다면 더욱 강력하고 압도적 대응에 직면할 것이며 북한 주민의 삶을 더욱 피폐하게 만들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김 부부장이 무례한 언어로 한미 양국의 국가원수를 비방한 것은 북한의 저급한 수준을 보여준 것으로서 국제사회의 웃음거리가 될 뿐임을 알아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워싱턴 선언이 발표되자마자 허둥지둥 억지주장을 들고 나온것은 한미동맹의 핵 억제력이 획기적으로 강화되는 데 대한 북한의 초조함과 좌절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과 발표한 워싱턴 선언은 한국이 NCG, 미 핵잠수함의 정기적 전개 등 미국의 핵억제력을 제공 받는 대신 핵확산금지조약(NPT)을 존중하고 자체 핵무장을 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겼다. 북한의 핵 미사일 위협이 고도화하는 여건에서 미국의 확장억제 전략 신뢰성을 강조하고 한미 동맹의 철통 같은 안보 태세를 드러내는 선언으로 평가된다. 다만 미국의 유일한 핵 전략서인 핵 태세 보고서(NPR)가 기존부터 동맹과 파트너의 위협에 대한 핵 선제공격, 보복공격 가능성을 열어두고 북한 정권 종말을 경고하고 있어 중대한 진전이 아니라는 반론도 존재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