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학 운명 쥔 '1000억 보증수표' 어디로..글로컬대학 30곳 지정

머니투데이 정현수 기자 2023.04.18 14:00
글자크기
(서울=뉴스1) 임세영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3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에서 열린 2023년 글로컬대학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3.3.13/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서울=뉴스1) 임세영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3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에서 열린 2023년 글로컬대학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3.3.13/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부가 지역대학의 운명을 좌우할 '글로컬대학'을 2026년까지 약 30개 지정한다. 당초 계획보다 1년 앞당긴 일정이다. 글로컬대학은 지방대의 혁신을 유도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교육부의 역점 사업으로, 지정된 대학은 역대 최대 규모인 5년간 1000억원의 지원을 받는다.

교육부와 글로컬대학위원회는 18일 이 같은 내용의 '글로컬대학30 추진방안'을 확정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시안을 발표한 이후 4차례의 공청회와 대국민 의견수렴 등의 절차를 거쳤다. 이 과정에서 글로컬대학 추진일정과 선정일정 등 일부 내용이 바뀌었다.



교육부는 지난달 발표한 시안에서 2027년까지 약 30개의 글로컬대학을 지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10개 내외를 지정한 후 2024년부터 2027년까지 매년 5개씩 지정해 약 30개의 글로컬대학을 완성한다는 계획이었다. 선정절차가 완료되는 시점이 2027년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올해와 내년 10개 내외씩, 2025년부터 2026년까지 매년 5개씩 글로컬대학을 지정해 2026년에 지정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일정을 바꿨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학 현장에서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지정 일정을 앞당기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다"고 말했다.



반면 오는 7월로 예정했던 올해분(10개) 글로컬대학 본지정 일정은 9월 말로 미뤘다. 각 대학이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기 위해서다. 대학들은 5월31일까지 5쪽 이내의 혁신기획서를 내야 한다. 교육부는 6월 중으로 15개 내외의 예비지정 대학을 선정한다.

예비지정 대학은 약 3개월의 준비기간에 지방자체단체, 지역 산업체와 공동으로 혁신기획서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해 광역지자체를 통해 제출한다. 글로컬대학위원회와 교육부는 혁신기획서를 토대로 평가·심의를 거쳐 9월 말 10개 내외의 글로컬대학을 지정한다.
특히 2개 이상의 대학과 기관이 지원 기간 중 통합을 전제로 혁신을 추진하는 경우에도 글로컬대학을 신청할 수 있다. 통합을 추진하는 대학은 글로컬대학 협약 체결 후 1년 이내에 교육부에 통합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글로컬대학 지정 신청서는 통합을 추진하는 대학이 공동으로 작성할 수도 있다.

글로컬대학은 소재지가 비수도권인 일반재정지원대학과 국립대학으로 한정한다. 글로컬대학으로 지정되면 5년간 1000억원의 지원을 받는다. 대학별·연차별 지원금은 대학규모와 실행계획 등을 반영해 조정한다. 지원 규모가 큰 탓에 글로컬대학으로 지정되지 않으면 도태할 수밖에 없다는 지방대의 위기감도 존재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밀물이 모든 배를 끌어 올리듯 글로컬대학은 지역 모든 대학의 변화와 혁신을 일으키는 물길을 만드는 일이 될 것"이라며 "글로컬대학이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이끌 수 있도록 정부도 과감한 규제혁신과 재정지원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