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만난 오픈AI 대표 "챗GPT 일본 사무실·일본어 서비스 확대"

머니투데이 김하늬 기자 2023.04.10 15:37
글자크기
마이크로소프트(MS) 로고와 챗GPT의 이미지 화면. MS는 챗GPT의 개발사 오픈AI와 파트너십을 맺고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AFPBBNews=뉴스1마이크로소프트(MS) 로고와 챗GPT의 이미지 화면. MS는 챗GPT의 개발사 오픈AI와 파트너십을 맺고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AFPBBNews=뉴스1


생성형 인공지능(AI) 채팅 프로그램 '챗GPT'를 만든 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 샘 알트먼이 일본에서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만난 뒤 일본 공식 진출 의사를 밝혔다. 일본 정부도 개인정보 유출 문제만 해결된다면 공무원 업무 영역에 적용할 생각이라고 화답했다.

10일 블룸버그 및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알트먼 CEO는 이날 도쿄의 관저에서 기시다 총리와 면담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일본 사무소를 열고 일본어 서비스를 확대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 우수한 인재들과 교류하며 일본 국민을 위해 훌륭한 것들을 만들어 가길 희망한다"며 "일본에서 이 기술이 채택된다면 정말 놀라운 일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시다 총리와의 면담에 대해 알트먼CEO는 "AI 관련 기술의 잠재력에 대해 논의했고,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도 같이 대화했다"며 "AI를 활용해 인류에 좋은 쪽으로 사용하는 방향과 사람들이 우려하는 부분에 관해서도 이야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픈AI를 일본문화와 일본어에 적합한 모델로 출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앞서 마츠노 히로카즈 일본 관방장관도 "개인정보 보호 및 사이버 보안 문제가 해결되면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 기술의 정부 채택을 고려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마츠노 관방장관의 발언은 알트먼 CEO와 기시다 총리 면담 성사 직전 나왔다.



이탈리아 정부가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로 일시 금지 조치를 취한 것과 관련해 마츠노 장관은 "다른 국가들의 조치를 파악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는 데이터 유출과 같은 우려에 대응하는 방법을 평가한 후 공무원의 업무량을 줄이기 위해 AI를 도입할 가능성을 계속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