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은 지난해 통계를 낸 이후 처음으로 출생아 수가 8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또 최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일본 싱크탱크 리크루트웍스연구소는 일본의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2027년부터 급격히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2040년 일본에는 노동력 1100만명이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
공개된 대책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젊은 층의 소득을 늘리기 위해 최저임금을 올리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주 20시간 미만 근로자도 고용보험 적용을 받는 것을 검토하기로 했다.
현재 인당 월 1만~1만5000엔(약 10~15만원) 지급되는 아동수당은 가구 소득과 관계 없이 다 지급할 방침이고, 지급 대상도 현재 중학생에서 고등학생까지 확장한다. 또 아이가 많을수록 수당액을 늘리는 것도 검토한다. 지지통신은 둘째는 3만엔, 셋째는 6만엔을 주자는 의견도 있다고 전했다.
출산비용을 공적 의료보험 적용 대상으로 하고, 학교급식을 무상 제공하는 것 역시 검토 대상이다. 자영업자, 프리랜서를 위해서는 육아 기간 연금보험료 면제 제도를 새로 만들 계획을 마련했다.
임신에서부터 출산, 육아까지 당국이 상담 지원하는 것을 제도화 할 계획을 꺼냈고,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은 취업 상황과 관계 없이 누구나 시간 단위로 이용할 수 있게 하자는 의견도 냈다.
아직 10%대인 남성의 육아휴직도 확대를 부추길 계획이다. 초안은 공무원의 경우 남성의 육아휴직 비율을 2025년 85%로, 일반 직장인은 2030년 85%로 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저출산대책을 진행하는 데 있어 문제는 비용이다. 명확한 수치가 공개되진 않았지만 요미우리는 여권 고위 인사의 말을 인용해 일단 6조엔(약 59조원) 정도로 추정했다. 이를 마련하기 위해 증세, 건강보험·연금보험 등 사회보험료 인상이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사회적인 반발이 나올 수 있다.
일본 정부는 이번 초안 관련해 이달 새로 만들어지는 관련 국무회의에서 논의를 시작하고, 6월에 재원 조달 방법 등을 포함해 구체적인 안을 공개할 전망이다.
한편 일본은 1일 저출산 문제를 포함해 각 부처의 아동 정책을 주도할 기구인 어린이가정청을 출범했다. 관련 법은지난해 6월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