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정 지원 이연세수 등 기저효과를 제외한 실질적 세수 감소분은 지난 1월 1조5000억원에서 2월 누적 6조9000억원으로 불어났다.
우선 지난해부터 반도체 대기업을 중심으로 기업 실적 악화로 법인세가 정부 예상(105조원)만큼 안 걷힐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여기에 고용·소비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소득세(정부 전망 131조9000억원), 부가가치세(83조2000억원)도 기대만큼 걷히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특히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지난해보다 18.6% 하락하며 종합부동산세(종부세)도 지난해보다 줄어들 전망이다. 정부는 올해 종부세가 5조7000억원 걷힐 것으로 예상했는데 공시가격 하락으로 실제 걷히는 세금이 예상치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여서다.
이에 올해 전체 국세 수입이 정부 예상(400조5000억원)보다 적은 '세수 펑크'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도 시험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으로부터 부족한 자금을 일시 차입하거나 하반기 국채 발행을 앞당기는 등의 고육지책을 쓰고도 연말까지 세수 부족이 계속되면 결국 추가로 빚을 내야할 수 있어서다. 당초 올해 말 국가채무 예상치(1134조4000억원)보다 국가 빚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미다.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도 예상치(49.8%)를 넘어 50%대를 돌파할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추후 경기 대응도 어려워 질 수 있다. 일각에서 상반기 집중 재정 투입 이후 하반기 중 재정 공백을 추경 편성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거론됐지만 세수 부족 상황에서는 이마저도 여의치 않아서다.
아울러 세수가 부족하면 올여름 편성할 내년도 예산안도 악영향을 받는다. 올해 세수가 당초 예상치인 400조5000억원을 밑돌면 내년 세수도 중기재정운용계획(418조80000억원)에 못 미칠 가능성이 커진다. 이에 상응하는 만큼 재정지출도 줄여야 해 내년 예산도 줄여야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아직 세수 펑크를 전망하기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하반기 경기 회복에 따라 세수가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정부 관계자 "2분기부터는 1분기보다 좋은 흐름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하반기 이후 경제가 회복되면 1월과 2월의 세수 부족분을 만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