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팀은 'NEO-ARS'로 AML 환자 맞춤형 암 백신 타깃 항원을 발굴하고, 환자들의 말초혈액을 이용해 암 신생항원에 의해 유도되는 T세포 반응을 체외(ex vivo)실험으로 확인했다.
신테카바이오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NEO-ARS'의 신생항원 예측도가 우수하며, T세포 수용체 치료제(TCR-T) 및 항암백신 등 환자맞춤형 면역항암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에 잠재적 활용도가 높은 AI 플랫폼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공동연구에 참여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송익찬 교수는 "림프성 백혈병과 달리 재발성 AML은 현재 특별한 세포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라며 "이번 연구는 AML 혈액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맞춤형 신생항원에 기반한 면역항암 치료제를 향후 개발하는 데에 타당성을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신테카바이오 관계자는 "NEO-ARS 예측 기술을 실제 항암백신 및 T세포 치료제 개발에 적용하기 위해 1차적으로 검증된 AML 신생항원 후보를 선별해 이번 공동연구를 발전시킬 계획"이라며 "타 기관 및 병원과의 검증 연구도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항암신약개발 전문기업 바이로큐어와도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단국대학교병원 암센터와 함께 NEO-ARS 기술을 활용한 환자맞춤형 치료용 항암백신에 대한 공동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이외에도 다른 공동연구 프로젝트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만큼 긍정적인 연구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