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헨리 무어(Henry Moore): 유럽의 조각 전통에 반발, 원시 미술에서 이상을 찾았고, 추상예술의 가능성과 조각재료의 고유한 물질성을 탐구한 세계적인 조각가 --역주]

60년이 지난 지금도 그의 묵중한 작품들에는 급진적이고 기이하며 신비로운 무언가가 있으며, 그리고 런던 서부에 있는 건축가 존 소운(John Soane: 19세기 영국 건축가로 '영국 건축의 아버지'로도 평가 --역주) 경의 핏쟁거매너를 배경으로 한 《앤서니 카로: 건축의 영감》전시에서 카로의 작품들은 빛나고 흥미를 자극하며 동시에 이 장원저택(매너)을 압도한다.
*[발견된 오브제(found object): 대량생산된 제품이 미술작품 소재로서 재발견된 것 --역주]
"조각은 항상 오브제와 표면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카로는 내부에 관한 작품을 만들고 싶었고,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여러분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는 그 내부공간을 보여주고 싶었던 것입니다." 앤서니 카로 센터 CEO이자 큐레이터인 폴 무어하우스의 설명이다.
1층 로비에 들어서면 구겨진 녹슨 철탑과 마주하게 되는데, 마치 약간 상체를 젖혀 사색에 잠기고, 엉덩이를 약간 비스듬하게 올린 듯한 기묘한 작품이다. 그 형태는 인간과는 거리가 멀지만, 인간의 태도를 넌지시 보인다. 구축주의 타워, 폐차장 로봇, 바우하우스 발레 의상, 컬트 오브제를 조금씩 닮은 이 작품은 20세기 초 아방가르드의 웅장한 전체가 무너져 내리면서 엉망이 되어버린 타워 꼴이다. 카로는 형태와 접합에 관심이 많은 구축주의자라는 인상을 내게 준다. 그렇지만 "카로는 구축주의자*가 아니었습니다. 그는 정반대였습니다." 앤서니 카로 센터 CEO인 무어하우스의 반박이다.
*[구축주의(constructivism): 1920년대 러시아 주류였던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으로 산업적 재료와 실용성을 강조하면서 주로 사회주의 이념을 표명 --역주]
이 전시회의 모든 조각 작품을 함께 만든 카로의 오랜 조수 패트릭 커닝엄(그는 1970년부터 카로가 사망할 때까지 함께 작업했다)은 "카로는 처음 시작할 때는 조각품이 앞으로 어떤 모습이 될지 전혀 몰랐습니다"고 말한다. 그리고 커닝엄은 산업 폐기물을 가리키며 "아마도 이런 조각 하나에서 시작했을 것일텐데, 그리고 나서는 1인치 두께의 철판 옆에 이 조각 하나를 배치하고 싶었을 것이고, 그리고 거기로부터 다음 단계로 나아갔을 것입니다" 라고 카로의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전시 제목("건축의 영감")은 건축에 대한 친밀감을 보이지만, 이것은 건축이 작동하는 방식은 아니다. 사전 설계가 없는 건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카로의 작품은 공간에 대한 몽환적인 이해를 보여주며, 실용적인 결과물보다는 무의식적 관념이 그리는 공간을 제시한다. 이는 조각과 공간 모두를 자유롭게 하는 기법이다. 카로는 "건축은 아마도 가장 순수한 추상적 시각 형태일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좀 더 작은 작품들이 전시된 다른 방은 스케일을 달리한다. 이 작은 작품들은 받침대 위에 놓여 있으면서 받침대 가장자리 밖으로 삐져 나와 있는데, 이러한 배치 방식이 작품의 귀중함과 완결성을 고의로 가로막는 듯하다. 〈유물보관소(Reliquary House)〉(2011)는 어두운 내부에서 돌출한 '발견된 철제 오브제'들을 포함하는 마치 귀신이 나올 듯한 콘크리트 오두막이다. 일부 조각 작품에서는 공간이 명확히 보이는 반면, 다른 조각에서는 공간이 보이지는 않지만 항상 작품 내부에 존재한다는 느낌이 왠지 모르게 든다.
카로는 아마도 자신의 보스였던 헨리 무어와 연관되어서인지 야외 조각 공원들을 싫어했고, 자신의 작품을 화이트큐브(미술작품을 전시하는 가장 기본적인 실내공간-역자 주) 에 전시하기를 원했던 것 같다. 하지만 그도 나이가 들어 누그러지면서 야외를 더 좋아하게 되었다. 〈포럼(Forum)〉(1992/94)의 무겁고 녹슨 프레임이 바깥 정원에 편안하게 자리 잡고 있으며, 이 가장 인상적으로 구성된 작품은 두 건물 사이의 작은 외부 공간에 있어 여러분들이 놓치기 쉬울 수도 있다.〈문(Door)〉(실제 문이 아님)은 부분적으로 공원의 후원으로 가는 실제 문을 가리기도 드러내기도 한다. 기계 부품과 건축 요소로 이루어진 이 아연 도금 강철 구조물(거대한 말뚝과 강철 기둥처럼 보이는 것들로 만들어진)은 원래 무엇이었는지 반쯤 알아볼 수 있는 것들, 너무 평범해 보이지도 않는 모더니티 요소들, 건설 현장의 임시변통, 금속으로 지은 창고와 농업 건축물의 평범한 재료들로 만들어졌다.

<앤서니 카로: 건축의 영감(Anthony Caro: The Inspiration of Architecture)> 전시는 영국 런던 서부 핏쟁거매너(Pitzhanger Manor)에서 3월 9일부터 9월 10일까지 열린다.
작가 앤서니 카로(Anthony Caro)는 대표적 영국 조각가로서 대담하고 균일한 색조로 칠한 철판이나 철골 등 산업 폐기물을 이용해 추상 조각을 제작하는 등 1960년대 조각을 재정의함으로써 현대 조각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
필자 에드윈 히스코트(Edwin Heathcote)는 저술가, 건축가, 디자이너로서 1999년부터 파이낸셜타임스(FT)의 건축/디자인 비평가로 활동해오고 있다.
역자 이희정은 영국 맨체스터대 미술사학 박사로 대영박물관 어시스턴트를 거쳐 현재 명지대 객원교수로 강의와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역서로는 <중국 근현대미술사>(근간)가 있다.
- 원문: Anthony Caro, Pitzhanger Manor review -- adventures in heavy metal © 2023 The Financial Times Ltd. All rights reserved.
- 편집: 김동규
국제시사·문예 버티컬 PADO는 통찰과 깊이가 담긴 롱리드(long read) 스토리와 문예 작품으로 우리 사회의 창조적 기풍을 자극하고, 급변하는 세상의 조망을 돕는 작은 선물이 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