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기업 부실 방지 위해 올해 신용위험평가 확대 실시
머니투데이 이용안 기자
2023.03.30 15:00
금감원 사옥금융감독원은 은행 신용위험평가 담당 임직원을 대상으로 올해 기업 신용위험평가 추진방향 관련 간담회를 열었다고 30일 밝혔다.
기업구조조정 촉진법 등 관련 법규에 따라 채권은행은 거래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를 매년 실시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필요한 사후 관리를 해야 한다. 기업들은 A등급(정상 영업 가능), B등급(부실징후 가능성), C등급(부실징후기업, 정상화 가능성 높음), D등급(부실징후기업, 정상화 가능성 낮음) 등 4개 등급으로 나뉜다. 평가등급별로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 회생절차 등 필요한 사후 조치를 받는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대내외 복합위기 대응을 위해 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가 중요하다는 공감대 아래 추진됐다. 또 정부의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제도가 은행의 거래기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유관기관이 사업재편, 중소기업 금융컨설팅 지원 등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목적도 있다.
올해 신용위험평가 추진방향으로는 △취약 부문에 대한 선제적 평가 △업종별 특성 등을 반영한 정확한 평가 △기업 상황에 맞는 다양한 대응 노력 등이 제시됐다. 또 고금리 기조에서 기업의 부실이 현재화하기 전에 선제적 지원이 이뤄지도록 기업에 대한 수시평가를 확대 실시하기로 했다. 구조적 어려움으로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기업은 신속한 회생절차 등을 통해 신용위험 확산을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