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경제가 무너지고 있다는 신호는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러시아 통화인 루블화의 가치는 지난해 11월 이후 달러 대비 20% 이상 하락했다. 지난해 30만명 규모의 예비군 동원령이 내려지면서 젊은 층이 전선에 투입되거나 징집을 피해 러시아를 떠나 노동력 부족 현상이 심화했다. 러시아 가이다르경제정책연구소는 "러시아 산업은 1993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악의 노동력 위기에 처해 있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러시아 경제를 위태롭게 하는 건 '에너지'다. 러시아의 주요 수출 품목인 천연가스와 원유의 가격이 떨어져서다. 전쟁 초기 서방의 제재에도 공급 불안 등으로 에너지 가격이 오르면서 러시아 정부는 그 덕을 봤다. 그러나 러시아산 에너지에 의존도가 높았던 유럽 국가들이 수입국을 다변화하고 가격상한제를 도입하면서 가격은 점차 하락했다.

세수 감소와 지출 증가로 러시아 정부 재정 상황은 열악해지고 있다. 올 2월까지 재정 적자 규모는 340억달러(약 44조2000억원)에 달한다. 러시아 경제에 완충 역할을 하는 국부펀드의 힘을 빌려 재정 지출을 늘리고 있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러시아 국부펀드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규모가 280억달러(약 36조4000억원)나 감소했다.
정부의 재정 적자로 자금 조달 압박이 커지면서 인플레이션이 악화할 가능성도 높아진 상태다. 낮아진 루블화 가치도 수입 물가 상승을 부르며 러시아의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있다. 러시아의 2월 물가상승률은 전년 대비 11%로 집계됐다.
러시아의 억만장자 기업인 올레크 데리파스카는 러시아에 현금이 고갈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데리파스카는 이달 초 한 경제 콘퍼런스에서 "내년에는 경제에 도는 현금이 없을 것"이라며 "외국인 투자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영국 싱크탱크 국제전략연구소의 마리아 샤기나 선임연구원은 "단기적 회복력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의 장기적 전망은 암울하다"며 "러시아는 중국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될 것"이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