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5년 설립된 영한금속은 배터리 절단기, 반사로, 정련기, 주조기, 집진기 등의 제련설비를 갖춰 다양한 원재료 가공이 가능하다. 여기에 리튬이온 배터리 재생 기술 이전만 마무리되면 NCM(니켈,코발트,망간) 계열 원재료 재활용도 가능해진다.
영한금속은 납축전지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통해서 순연과 합금연을 생산 중이다. 영한금속이 생산하는 합금연 및 순연은 자동차용 배터리 및 차폐재 등 다양한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
소니드 관계자는 "이차전지 전처리 설비가 가능한 납축전지 재활용 업체인 영한금속 인수를 계기로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본격화할 수 있게 됐다"며 "후처리 설비의 경우, 캐나다 배터리 리사이클링 업체 리사이클리코 배터리 머터리얼즈(RecycLiCo Battery Materials)와의 협업을 통해서 구축해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소니드는 캐나다 기업 리사이클리코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 진출을 선언했다. 이후 리튬이온 배터리팩 북미 유통법인 '제트원이브이 아메리카'를 통해서 북미지역 소형 ESS(에너지저장시스템) 및 리튬이온 배터리팩 유통사업에도 진출해 폐배터리 원료 수급 루트도 마련했다.
또 지난 2월에는 케이에스씨비네트웍스 지분 50%를 인수해 경상남도 양산에 소재한 약 1만 평(2만9400㎡) 사업장 부지를 확보하면서 리튬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으로 사업 확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