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행 '고객접점' + 지방은행 '자본' 으로 공동대출...경쟁 촉진 기대

대출 과정에서 고객 대응 등의 업무는 인터넷은행이 지방은행으로부터 위탁받아 수행한다. 대출 연체 등 사후 관리는 두 은행이 각 채권자로서 독립적인 사후관리 주체가 되지만 일관성 있는 고객 경험을 위해 동일 사후관리업체에 위탁하는 방안이 고려된다.
인터넷은행은 적정 자본 비율 내에서 대출을 지속 공급해 성장 기반을 확대하고, 지방은행은 영업 채널을 다각화와 양질 대출 포트폴리오 확보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대형 시중은행 중심의 과점적 구조를 완화하고, 인터넷은행과 지방은행의 상생과 동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 토스뱅크와 광주은행이 지난해부터 공동대출 실무협의를 진행 중으로 현재 세부 방안을 마련 중이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지방은행과 협업을 하면 부족한 자본력을 메울 수 있다"며 "지방은행은 소비자와 접점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인터넷은행과 지방은행의 공동대출은 금리가 어떻게 되느냐가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아직 실행 전이지만 대출 금리나 한도 측면에서 협업을 통해 시중은행과 경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협업모델이 가능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제약 여부 등을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공동대출 모델은 대출재원을 확보하고 있는 지방은행과 소비자와 넓은 접점을 가지고 있는 인터넷은행의 협업을 통해 경쟁촉진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인터넷은행, '중저신용대출 비중 완화' 건의…김소영 부위원장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가 국민과 약속"

다만 회의에서는 중저신용자 대출비중 완화보다는 위험 관리 능력을 더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또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완화하면 이들이 더 높은 금리에 노출되는 등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어 인터넷은행은 금리단층 해소 역할을 지속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방카슈랑스 영업기준과 '꺾기' 규제는 비대면 영업이라는 인터넷은행의 특성상 완화가 필요한 부분으로 논의됐다. 하지만 다크패턴(눈속임 설계) 등으로 소비자를 속이거나 유인하는 문제가 있어 어떻게 규제할 것인지는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김 부위원장은 "인터넷은행은 무점포 비대면 영업으로 기존 은행에 비해 비용을 크게 절감해 높은 예금금리와 낮은 대출금리로 은행권내 경쟁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새로운 대안신용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하는 것이 설립 당시 국민과의 약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