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방접종 대상은 6개월 이상 전 국민이다. 지 청장은 "백신을 맞지 않은 분들에 비해서 백신을 맞은 분들이 더 보호가 되는 것은 확실하다"며 "그래서 올해까지는 전 국민 대상으로 접종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접종비는 현재처럼 무료다. 다만 올해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이 낮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시기는 오는 4~5월이다. 이렇게 되면 코로나19 예방접종이 무료로 유지될 경우 감기 등 다른 4급 감염병 접종과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지 청장은 "연내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이 4급으로 전환되더라도 무료로 시행할 계획"이라며 "코로나19는 특별한 상황인 만큼 기존 감염병과는 다르게 판단하고 방역상황의 시급성, 질병 부담 등을 검토해서 시행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지 청장은 "6월경 전 세계적으로 2023년, 2024년에 사용될 백신주를 선정하는 과정이 있을 것"이라며 "이때 우리나라 상황과 딱 맞는 스트레인이 선정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제조사와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백신 개발이 가능한지 논의를 하고 있다"며 "우리 상황에 가장 맞는 백신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국산 백신이 2가 백신이 개발된다면, 국내 상황에 맞춰 잘 개발된 백신이면 사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할 계획"이라고 했다.
최근 화이자, 모더나 등이 코로나19 백신 가격 인상을 예고한 것과 관련해선 "최대한 가격을 합리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백신 재고량 및 처분 계획에 대해서는 "물류센터에 보관 중인 분량은 4200만회분 정도이고 이중 9월 말까지 유효기간이 종료되는 것은 3500만회분 정도"라며 "폐기를 줄이기 위해 공여나 제조사와 가지고 있는 백신의 유효기간 연장 등을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신규 도입되는 백신에 대해서는 도입시기를 최대한 뒤로 조정하는 노력도 하고 있다"며 "그렇게 하더라도 남는 부분에 대해서는 불가피하게 유효기간 경과 시 폐기해야 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코로나19 백신 이상반응 보상체계와 관련해서는 "2가 백신의 경우 이상반응이 굉장히 낮고 기존 다른 백신들과 비교해도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며 "작년보다 보상을 위한 예산을 2배 이상 확보, 최대한 보상 지원을 하려고 노력하고도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