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이 대표의 민생행보에 대해 당 안팎의 여론은 마냥 우호적이지 않다. '대안 야당' 이미지 구축에 사실상 실패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한 민주당 의원은 머니투데이 the300(더300)에 "당대표 이재명으로서의 대표적인 정책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이라며 "정부 지지율이 떨어져도 이를 흡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문제다. 중도층을 끌어안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했다.
당시 경기도지사를 지내던 이 대표는 코로나19(COVID-19)가 한 창일 때 신도 명단 확보를 위해 신천지교회에 대한 과감한 조치를 단행했고, 지역화폐로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면서 전국적인 호평을 받았다. 공직선거법상 허위 사실 공표 혐의로 재판받고 있었음에도 지지도를 높이며 단번에 대선주자로 올라섰다.

비명계의 한 수도권 의원은 머니투데이 더300에 "최고위원회의 발언이 거의 동일하다"며 "현재 당 지도부를 보면 대표를 보호하려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했다. 이어 "대표가 한 말을 그대로 받아서 얘기하면 확장성이 있겠냐"며 "국민을 설득하려면 고민한 흔적이 있어야 하고, 의견이 다른 사람을 (지도부에) 배치해 소통을 일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의 대표직 사퇴만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비명계인 조응천 의원은 지난 14일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발버둥 칠수록 빠져드는 개미지옥 같은 상황"이라며 "(과거에 당 대표를 맡은) 선배들은 당이 누란의 위기에 처했을 때 선당후사 하는 정치로 다 자신을 먼저 버렸다"며 이 대표의 퇴진을 언급했다.
책임을 이 대표에게 온전히 돌리기는 어렵다는 의견도 나온다. 정치평론가인 박창환 장안대 교수는 "야당이 민생을 잘하는 게 사실 쉽지 않고, 여당인 시절에도 잘하지 못한 결과가 대선과 지방선거 패배"라며 내부 구조에 문제의 본질이 있다고 평가했다. 장 교수는 "체포동의안에 이탈표가 나오는 등 내부 갈등이 외부로 표출되는 모습 역시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했다.
향후 추이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얘기도 있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머니투데이 더300과의 통화에서 "그간 국민의힘 전당대회로 컨벤션 효과가 있었고, 최근에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들도 국민들의 평가를 제대로 받기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이 의원은 또 "여당 지도부 출범으로 본격적인 민생 경쟁이 시작될 것"이라며 "여야 간 정책 경쟁이 시작되면 민생 이슈를 주도할 여건 역시 마련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