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윤 후보자의 약점에 관해서도 기술했다. 구현모 현 대표가 불법 정치자금 후원 혐의로 기소,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KT가 75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것에 관해 ISS는 "윤 후보는 구 대표의 법적 우려가 제기됐을 때 이사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며 "법적 문제의 소지가 있는 이사를 해임하지 못한 것은 윤 후보의 이사로서의 책임성, 이사회 감독 능력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ISS는 강충구·여은정·표현명 사외이사의 재선임 안건에 대해선 '반대'를 권고했다. 근거는 윤 후보와 마찬가지로 "법적으로 문제의 소지가 있는 이사를 제거하지 못했다"며 "거버넌스와 위험 감독에 대한 실패를 낳았다"고 적었다. ISS의 평가를 뒤집어보면, 대표이사인 윤 후보와 사외이사인 3인 후보의 KT 지배 구조상 무게감의 차이가 아니라면 윤 후보마저도 반대 명분은 충분하다는 의미다.

구 대표의 연임 포기와 윤 후보의 선임 과정에서 불거진 '관치' 논란에 소액주주들마저 윤 후보에 힘을 싣고 있다. 네이버 카페 'KT 주주모임'은 윤 후보 선임 찬성을 위한 소액주주 결집에 나서고 있는데, 지난 18일 오후 기준 약 365만주를 모았다고 밝혔다. 이는 KT 지분의 약 1.4%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 같은 흐름을 고려하면 KT 내부에선 주총 표 대결에 '승산이 있다'는 표정이 읽힌다. 국민연금이 반대표를 던지고, 여권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현대차그룹(7.79%)과 신한은행(5.48%)이 여기에 동조한다고 가정해도, 외국인과 소액주주들이 윤 후보와 이사회에 찬성표를 던지면 유리하다는 기대감이다. 대표이사 선임은 주총 출석 주주 의결권의 과반, 발행 주식 총수 4분의 1 이상의 찬성표를 얻어야 가결된다.
그러나 주총 통과만으로 KT의 위기가 끝나리라 기대하긴 어렵다. 국내 정치상황에 중립적인 해외 자문사인 ISS마저 윤 후보를 비롯한 KT 이사회의 한계를 지적했을 정도로, KT의 지배구조 개선에는 여러 과제가 산적했다는 평가다.
우선 모든 주총 안건이 가결된다 해도 6명의 사외이사 전원이 여권이 비판하는 "이익 카르텔"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은 만큼 '물갈이' 요구가 비등할 전망이다. 또 여권 '코드 맞추기' 논란 속에 내정됐다 후보자 사퇴로 결론 난 KT의 사외이사, 자회사인 KT스카이라이프 대표의 빈 자리도 채워야 한다. 여기에 시민단체의 고발로 시작된 검찰 수사도 KT 경영진을 점차 옥죌 것으로 보인다.
KT의 대응도 분주하다. 윤 후보는 여권의 반대 기류를 의식해 KT 이사회를 비롯한 유관 부서에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대주주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야 한다"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또 KT는 기존이 CEO 선임 방식, 이사회 구성 방식의 문제점을 고치기 위한 '지배구조개선 TF'를 추진하는 등 위기 대응에 주력하는 표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