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농업이 노동력 측면에서 '영양실조' 상태라는 말은 그냥 나온 말이 아니다. 하지만 정부가 농촌인력 수급대책에 팔을 걷어 부치면서 올해 농촌인력 수급에는 긍정적 변화가 예상된다. 국내 인력공급이 전년 대비 20% 늘어나고, 외국 인력도 같은기간 73% 확대된다. 또 주요 품목 주산지를 중심으로 한 인력수급도 강화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4월부터 본격화 되는 농번기에 대비해 △국내 인력 연 352만명 공급 △외국인력 3만8000명 도입 △품목 주산지 전국 30개 시·군 중점관리 등을 내용으로 하는 '농업분야 인력수급 지원대책'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온라인 구인-구직자 매칭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월 시작된 '도농인력중개플랫폼(www.agriwork.kr) 서비스'도 본격화 되고 농협과 연계한 체류형 영농작업반도 지난 해 20개소 2만명에서 올해 30개소 3만명 규모로 운영한다. 또 코로나19 제한 조치가 완화됨에 따라 지자체를 통한 농촌일손돕기 참여 인원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올 해는 역대 최대규모인 3만8000명 규모의 외국인 근로자가 농업분야에 배정됐다. 고용허가제 외국인근로자(E-9)는 1만4000명이 배정되었으며, 계절근로제 외국인근로자(C-4, E-8)는 121개 시·군 2만4418명이 배정돼 순차적으로 입국할 예정이다.

아울러 주요 품목 주산지를 중심으로 중점관리 시·군 30개를 선정해 농번기 인력수급 상황을 집중 관리할 계획이다. 농식품부-지자체-농협을 연계한 인력수급 지원 TF 상황실을 운영해 지역별 인력부족 상황 발생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박수진 농식품부 농업정책관은 "이번 대책이 농번기 농업인력부족 문제를 완화하는 한편 공공부문 인력 공급 확대를 통한 농업 고용인력 임금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며 "관계부처, 지자체, 농협 등과 긴밀하게 협력해 농업인력이 원할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