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원장은 "증권사가 유동성·건전성 리스크를 최우선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갖춘 증권사에는 "자금조달이 원활하지 않은 취약 부문에 적극적으로 자금을 공급하는 등 시장 안정에 큰 힘을 실어달라"고 했다.
이와 함께 이 원장은 해외진출 등 증권사의 글로벌화에도 힘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아직 글로벌 IB(투자은행)에 비해 많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해외시장 진출, 해외투자 확대는 우리 증권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 만큼 글로벌화에도 더더욱 힘써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이 원장은 "부동산 투자에 편중된 그간의 영업 방식에서 벗어나 IB 업무를 통한 고부가가치 사업 역량 강화에 더 많은 자원을 집중해 실물경제의 활력이 제고되도록 지원해달라"고 강조했다.
이날 이 원장은 투자자 예탁금 이용료율, 신용융자 이자율 개선 논의도 언급했다. 그는 "특히 투자자의 권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예탁금 이용료율, 주식대여 수수료율, 신용융자 이자율 산정관행 개선 논의에도 각별한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했다.
또 "국내 증권사 리서치 보고서의 객관성·신뢰성 제고 문제는 그간 오랜 과제였던 만큼 제대로 개선될 수 있도록 업계가 함께 노력해달라"고 덧붙였다.
증권사 대표들은 이 원장에게 은행과의 경쟁 촉진·금융소비자의 선택권 제고를 위해 법인 지급결제 허용, 외환 업무범위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 고령화 사회 수요에 대응하는 종합재산신탁 등 신탁상품 활성화를 위해 관련 입법 작업이 조속히 추진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미래에셋증권 최현만 대표, 삼성증권 장석훈 대표, 하나증권 강성묵 대표, KB증권 김성현 대표, 메리츠증권 최희문 대표, 키움증권 황현순 대표, 대신증권 오익근 대표, 교보증권 이석기 대표, 하이투자증권 홍원식 대표, 신영증권 황성엽 대표, 비엔케이투자증권 김병영 대표, 유진투자증권 고경모 대표, SK증권 전우종 대표, 코리아에셋투자증권 기동호 대표 등 14개 증권사 대표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