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3%p 인상, 올해 물가상승 둔화 효과 -1.3%p"

머니투데이 박광범 기자 2023.02.28 17:32
글자크기
한국은행 본점 전경/사진제공=뉴스1한국은행 본점 전경/사진제공=뉴스1


한국은행이 최근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은 그간 빠르게 진행해 온 금리인상의 파급 영향을 점검하고 높아진 대내외 불확실성의 진행 상황을 고려하기 위한 판단이었다고 밝혔다. 지난 기준금리 인상 효과는 올해부터 본격화 해 물가상승률을 1.3%포인트(p) 가량 떨어뜨릴 것이라고 추정했다.

홍경식 한은 통화정책국장은 28일 한은 블로그에 '2023년 2월 기준금리 결정의 주요 배경'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홍 국장은 "우선 그간의 기준금리 인상의 파급 시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조정하면 시장금리와 여·수신금리 등 금융시장에 1차적으로 파급되면서 소비와 투자 조정이 나타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물가가 조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같은 물가 파급시차는 국가별, 경제여건별로 다르다"면서도 "한은 계량모형 등에 따르면 기준금리 조정의 물가 영향은 4~6분기 이후부터 본격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한은이 본격적으로 금리를 올리기 시작한 2021년 8월 이후 6분기, 사상 첫 7차례 연속 금리인상의 출발점이었던 지난해 4월 이후 약 4분기가 지난 만큼 금리인상에 따른 효과를 점검해볼 시기에 이르렀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홍 국장은 "기준금리 조정의 물가 파급시차를 고려할 때 2021년 8월~2023년 1월중 기준금리 300bp(1bp=0.01%포인트) 인상의 물가 둔화 영향은 올해에 보다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계량모형 분석에 의하면 CPI(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둔화 효과가 지난해 -0.4%p에서 올해 -1.3%p로 커질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한은은 향후 대내외 불확실성 요인들을 점검하며 향후 기준금리 방향성을 결정해 나갈 예정이다. 통화정책 긴축 기조를 상당기간 이어나가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은이 꼽은 불확실성 요인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최종금리 수준 △중국 경제의 회복 속도와 그 영향 △국내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 등이다.


홍 국장은 "당초 시장에서는 미 연준의 최종금리를 5%대 초반으로 예상했었는데 2월 들어 미국의 고용과 물가 지표가 시장 예상을 상회하면서 최종금리 수준 전망이 상향조정됐다"며 "긴축기조의 지속기간도 예상보다 길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 많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다만 "앞으로의 고용 및 물가 흐름에 따라서는 시장 기대가 또 달라질 수 있는 만큼 3월 21~22일 중 개최되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결과를 잘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와 관련해선 "현재로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월 이후 점차 낮아져 연말쯤 3%대 초반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중국 경제 회복과 관련한 국제 에너지 가격 움직임, 미 연준의 최종금리 수준과 미 달러화 흐름, 공공요금 인상 시기 및 폭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부동산 경기의 향방과 성장,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 등도 아직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주택시장과 관련 자금시장 상황을 유의해 지켜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