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의 유상증자 신주 인수와 같은 단순투자가 아닌 공개매수를 포함한 적극적인 경영참여로 전략을 변경하겠다는 의미다. 앞서 카카오는 SM이 발행하는 유상증자 신주와 전환사채 인수로 SM 지분 9.05%를 취득하기로 했다. 양사 간 전략적 제휴를 통해 콘텐츠 시너지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이브가 SM 공개매수에 성공하고 최대주주에 올라서면 카카오가 보유한 SM 지분 9%는 계륵이 된다. SM과의 시너지를 기대할수도, SM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도 없는 애매한 지분이다.
카카오가 실제 공개매수에 나선다면 증권가에서는 하이브가 제시한 가격인 12만원보다 높은 14만~15만원이 유력하다고 본다. 이 경우 SM의 기업가치는 3조3000억~3조6000억원으로 계산된다. 현재 시가총액(2조8643억원) 보다 5000억~7000억원 더 높은 프리미엄을 부여한 가격이다. 가격 부담이 있지만 인수 이후의 시너지를 생각하면 무리한 수준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하이브와 카카오 중에 SM 인수가 더 절실한 쪽은 카카오"라며 "카카오엔터의 상장이나 SM 인수 이후의 사업 시너지를 고려하면 인수 가격이 다소 높더라도 카카오는 베팅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수 여력도 하이브보단 카카오가 우세하다. 카카오엔터는 지난달 11조원대 기업가치를 인정받으면서 유상증자를 통해 싱가포르투자청(GIC)과 사우디국부펀드(PIF)로부터 1조2000억원을 투자 받았다. 공개매수 가격을 15만원으로 가정하면 SM 시가총액은 약 3조6000억원이다. 카카오가 지분 30%를 확보할 경우 1조원의 자금이 든다. GIC와 PIF로부터 받은 자금으로도 충분하다.
반면 하이브는 지난해 3분기말 기준 현금성 자산이 약 9000억원인데 최근 미국의 힙합 레이블 QC 미디어 홀딩스를 3140억원에 인수한 상황이어서 자금 사정이 넉넉치 않다.
이번 이수만 총괄 지분 인수와 공개매수에 필요한 금액은 총 1조1370억원이다. 하이브는 이를 위해 계열사로부터 3200억원을 차입했다. 추가로 필요한 자금은 사채 발행이나 유상증자로 충당할 수 있지만 그럴 경우 재무구조 악화나 주식가치 희석을 피할 수 없다.
또 하나 관건은 주주총회에서의 표대결이다. 하이브든 카카오든 지금 공개매수로 지분을 확보하더라도 주총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지분은 지난해말 기준이다.
증권가에서는 우선 하이브의 우호지분을 이수만 총괄의 지분 18.46%와 컴투스의 지분 약 4%를 더해 약 22% 정도로 본다. 카카오 우호지분은 국민연금과 KB자산운용, 얼라인파트너스 등을 포함한 29% 이상이다. 카카오에 다소 유리하지만 주총까지 소액주주 우호지분을 얼마나 확보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하이브와 현 SM 경영진은 각자 자신에게 유리한 사내·사외이사 이사를 추천했다. 만약 카카오가 SM을 인수하더라도 주총 표대결에서 져 하이브측 인사로 이사회가 구성된다면 당분간 경영권 분쟁은 지속될 수 있다.
박성국 교보증권 연구원은 "신주발행취소 가처분신청 결과와 공정위 경쟁심사 통과 여부 등 변수가 많다"며 "누가 주인이 되든 SM의 체질 개선은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