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원장은 간담회에서 "자산운용사를 비롯한 기관형 운용사들의 주주로부터 위임받은 의결권행사를 어떻게 해야 주주 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느냐에 대한 깊은 논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거칠게 예를 들면 상점을 지킬 종업원을 구하는데 그 종업원이 물건을 훔치는 습관이 있다면 최소한 부정적 요건의 하나로 '이건 안된다' 얘기할 수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앞서 모두 발언에서 이 원장은 "스스로의 깊은 고민을 통해 책임있는 의결권 행사 방향을 모색해달라"고 강조했다. 그는 "기업의 주주가치 제고와 훼손에 대해 각각 상응하는 평가가 이뤄지는 시장문화의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금감원은 의결권 행사 시 실효성있는 지침이 될 수 있도록 금융투자협회와 함께 '자산운용사의 의결권 행사 가이드라인'을 개정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현재 의결권 행사 여부나 내용을 간략히 공시하도록 돼 있다. 2016년에 제정된거라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논의 등을 반영못하는 부분이 있어 앞으로 구체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의 이 같은 작심 발언은 최근 정부의 '스튜어드십 코드(수탁자 책임원칙)' 강화 움직임과 궤를 같이 한다. 연초 윤석열 대통령은 금융위원회 업무보고 때 "과거 정부 투자 기업 내지 공기업이었다가 민영화되면서 소유가 분산된 기업들은 소위 '스튜어드십'이라는 것이 작동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최근 국민연금도 주식 위탁운용사를 대상으로 적극적 의결권 행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여기에 이 원장의 발언까지 더해지면서 3월 상장사들의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행동 움직임이 더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국내 행동주의 펀드뿐 아니라 그간 목소리를 내지 않았던 다수 기관투자자들이 이번 주총을 계기로 적극적 의결권 행사에 나설 수 있어서다.
특히 윤 대통령과 국민연금, 이날 이 원장이 언급한 소유 분산기업에 대한 관심이 집중된다. 소유 분산기업은 그룹 총수가 있는 대기업과 달리 지배적 주주가 없이 외국인, 국내 기관 등으로 지분이 분산된 기업을 말한다. KT (30,300원 ▼100 -0.33%)를 비롯해 POSCO홀딩스 (393,000원 ▲5,000 +1.29%), KT&G (82,800원 ▼200 -0.24%), KB금융 (49,200원 ▲750 +1.55%), 신한지주 (35,400원 ▲100 +0.28%), 우리금융지주 (12,030원 ▲20 +0.17%) 등이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