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팬데믹 이후 급성장할 백신 시장… 뒤처지는 기술력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드마켓(Market&Market)에 따르면, 전 세계 코로나19 백신 시장 규모는 2020년 6억2000만달러에서 이듬해 980억달로 158배 늘었다. 코로나19를 제외한 백신 시장 규모는 같은 기간 376억5000만달러에서 413억7000만달러로 증가했다. 오는 2026년까지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이 예상된다.
급변하는 글로벌 백신 시장에서 대한민국 위상도 높아졌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21년 한국 백신 시장 규모는 3조8050억원으로 전년 대비 322.3% 폭증했다. 팬데믹 초기 삼성바이오로직스와 SK바이오사이언스가 코로나19 백신 OEM(주문자위탁생산) 체계를 구축해 글로벌 백신 허브 도약의 길을 열었다.
그러나 원천 기술력이 부족한 대한민국은 백신 경쟁에서 밀리기 시작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 (69,700원 ▼300 -0.43%)가 국내 1호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을 만들었지만 낮은 접종률로 추가 완제품 생산이 중단됐다. 지금까지 접종에 사용된 스카이코비원은 약 5000회분으로 접종률이 1%에도 미치지 못했다. 변이 발생에 따른 후속 개량백신 개발도 정체된 상황이다.
한국과 일본의 mRNA 백신 기술 격차도 벌어지고 있다. 도쿄 소재의 제약사 다이이찌산쿄는 일본 최초의 mRNA 코로나19 백신 공장을 건설 중이라고 최근 밝혔다. 2024년까지 2000만회분 생산 용량을 갖출 예정이다. 다이이찌산쿄는 mRNA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DS-5670'도 보유 중이다. 지난달 일본 정부에 품목허가를 신청했다. 승인이 이뤄지면 일본 최초의 mRNA 코로나19 백신이 탄생하게 된다.
대한민국에서도 에스티팜 (61,900원 ▲300 +0.49%)·아이진 (3,015원 ▼70 -2.27%)·큐라티스 비상장 (6,700원 0.00%)가 mRNA 백신을 개발 중이지만 이들 파이프라인은 모두 임상 1상 혹은 2a상 등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자금·인력 등 정부 지원 시급… '백신 불신' 국민 신뢰 회복해야

오기환 한국바이오협회 경제연구센터장은 "아무래도 안 가 본 길을 가려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실패할 확률도 높다. 실패 확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규제기관의 적극적인 인허가 지원이 필요하다"며 "시장이 작거나 불확실한 특정 백신 개발에 뛰어들 기업은 아마 없을 것이기에 성공불융자 제도 도입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백신을 성공적으로 개발할 경우 정부의 구매 확약이 있어야 기업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백신 접종에 대한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현재 SK바이오사이언스를 비롯해 여러 기업이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를 동시에 예방하는 콤보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의 낮은 신뢰로 이들 백신의 접종률이 떨어진다면 전체 산업 성장도 어렵게 된다. 정부는 팬데믹 국면에서 '방역패스' 등 무리한 방역 정책과 잦은 백신 접종 독려로 국민의 피로감을 유발했다. 국민은 백신 접종 보이콧으로 응수했다. 20일 기준 97%에 달하는 1·2차(기초접종) 백신 접종률과 달리 기준 18세 이상 성인의 동절기추가 접종률은 15% 미만이다.
김탁 순천향대 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 정부가 계획하는 것처럼 일 년에 한 번 접종하는 등 접종 간격을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