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장 식품기업 공통점은 '글로벌'...수출기업 통관리스크 '불씨'

머니투데이 지영호 기자 2023.02.15 17:12
글자크기
고성장 식품기업 공통점은 '글로벌'...수출기업 통관리스크 '불씨'


해외사업을 주력으로 삼았던 식품기업들이 지난해 두자릿수 성장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K푸드 열풍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현지 생산시설이 없는 수출 기업들은 국가별 식품기준에 따른 통관문제가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이를 해소하는 것이 추가 성장의 열쇠가 될 전망이다.

해외주력 식품기업, 줄줄이 두자릿수 매출증가
15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 (332,500원 ▼4,500 -1.34%)은 지난해 CJ대한통운 (127,200원 ▲2,200 +1.76%)을 제외한 매출이 18조779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도 15조7444억원에서 19.3% 증가했다. 식품사업부문 매출은 11조1042억원으로 사상 첫 10조원을 넘겼다. 매출 상승을 주도한 것은 해외식품분야다. 전년대비 18.7% 증가하면서 사상 첫 5조원을 넘어섰다. 글로벌 매출 비중은 역대 최대치인 47%다. 미국의 대형 식품사 슈완스와 비비고 브랜드의 인기가 실적을 견인했다.



오리온 (92,400원 ▼700 -0.75%) 역시 해외시장의 성장으로 창사 이래 최대실적을 올렸다. 매출 2조8732억원, 영업이익 4677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22%, 25.1% 늘었다. 역시 해외매출이 성장을 주도했다. 중국이 14.9% 증가했고 베트남법인이 38.5% 늘어나는 등 해외사업 호조가 실적으로 반영됐다. 지난해 11월까지 오리온의 해외매출 비중은 66.8%였다.

삼양식품 (287,000원 ▼3,000 -1.03%)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전년대비 40% 가까이 늘어났다. 6000억원대 매출과 600억원대 영업이익은 1년만에 9090억원과 903억원을 기록했다. 2015년 3000억원에도 미치지 못했던 매출은 2016년 '불닭볶음면 챌린지' 열풍이 불면서 매년 성장해 8년만에 3배가 됐다. 특히 지난해에는 수출증가 효과를 톡톡히 봤다. 2019년 50.2%였던 수출비중은 2020년 57.1%, 2021년 60.5%로 주춤하다가 2022년 3분기 누적 67.4%로 급증했다. 지난해 잠정 수출액은 6000억원 이상으로 수출비중은 66.6%로 예상된다.



삼양_불닭볶음면삼양_불닭볶음면
현지화 성공했지만 통관은 불안요소
무엇보다 지난해 삼양식품의 급성장은 주목할 만하다. 2021년 한 풀 꺾였던 불닭볶음면의 인기가 지난해 재확인됐기 때문이다. 삼양식품은 급성장한 배경으로 현지화를 꼽는다. 동남아 국가에 향신료를 더한 '커리불닭볶음면' 출시를 시작으로 △중국 마라불닭볶음면 △미국 콘불닭볶음면 △동남아 3X핵불닭볶음면으로 현지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변신을 시도한 것이 그 예다.

지난해에는 미국에서 히스패닉 등을 겨냥한 하바네로고추라임을 활용한 하바네로라임불닭볶음면과 중국에서 중국식 고추장인 라장을 활용한 불닭비빔장을 출시했다. 국내에선 판매하지 않는 현지 전용제품이다보니 국내 해외여행자들의 쇼핑목록에 필수 구매상품으로 거론되기도 한다. 일례로 올해 일본에서 판매한 야키소바불닭볶음면은 한국 여행객의 필수 쇼핑코스인 돈키호테에 입점한 후 초도물량 20만개가 2주만에 동나기도 했다.

하지만 국가별 식품안전기준은 잠재적 불안요소다. 특히 다국가 수출기업의 경우 각 국가별 세관을 거처야 하기 때문에 여러 기준을 챙기기 여의치 않다. 대표적인 예가 해외 국가별로 다른 에틸렌옥사이드(EO) 함량 기준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등 주요국은 발암물질인 에틸렌옥사이드를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은 클로로에탄올(2-CE)과 구분해 표기하지만, 유럽 등 일부 국가는 두 물질을 묶어 에틸렌옥사이드로 표기하다보니 수출물량이 폐기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문제되지 않는 제품이 특정국가에서 발암물질이 포함된 제품으로 알려지면서 산업 전체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삼양식품의 경우 전세계 90여개 국가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데 전량을 국내에서 생산해 해외에서 판매한다. 현지에 생산시설을 둔 CJ제일제당이나 오리온과는 사정이 다르다. 윤아리 삼양식품 품질안전센터장은 "각 국가별 식품기준이 다르다보니 기업이 해당국가의 기준을 모두 파악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국제기준을 만들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