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정유업종의 주가 상승에는 지난 10일 러시아가 발표한 원유 감산 조치에 따른 국제유가의 급등이 있다. 원자재 가격의 상승에 따른 판가 인상 기대감이 드는 것으로 보인다.
EU와 G7은 지난해 12월5일부터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를 시행했다. 러시아의 전쟁 자금 조달을 차단하겠다는 취지다.
업계에서는 러시아의 감산 조치가 예상이 가능한 조치였다는 점에서 유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그러나 중국의 리오프닝(경기 재개)에 따라 원유 시장에서의 수요가 급격히 늘 수 있다. 아울러 러시아가 감산 예고를 했음에도 OPEC(석유수출국기구)와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가 증산 의지를 보이지 않아 가격 상승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증권가에서도 이날 정유업종의 상승을 이끌고 있는 국제 유가 상승 모멘텀이 단기적으로는 지속될 수 있다고 보는 분위기다. 러시아의 조치가 어느 정도로 지속될 지, 이후 생산이 어느 정도로 회복될 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전우제 KB증권 연구원은 "원유 공급이 줄면서 정유사들의 가동률이 낮아질 수 있다"며 "러시아 정유제품에 대한 상한제를 실시하면서 러시아 정유사들도 가동률을 낮출 수 있어 전반적인 정유 산업의 공급이 줄어들고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EU의 금수조치나 러시아의 감산 조치가 정유업종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할 것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 러시아의 원유가 석유제품 형태로 수출이 지속되고 있고 글로벌 가스, 석탄 가격이 안정화되면서다.
윤재성 하나증권 연구원은 "인도·중국으로 수입된 러시아 원유는 정제과정을 거쳐 석유제품 형태로 EU로 수출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반대로 러시아 석유제품은 아시아로 유입되며 무역 흐름(Trade Flow)의 변경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돼, 결국 EU의 러시아 원유·석유제품 금수조치의 효과가 크지 않을 가능성이 점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러시아의 원유 일당 50만 배럴 감산 협박과 중국 리오프닝에도 불구하고, 2022년 상반기에 나타난 에너지원에 대한 패닉바잉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며 "이는 글로벌 가스·석탄 가격의 안정화 때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