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장 위험한 수준의 연체율이라고 볼 수는 없다. 다만, 업계는 상승 폭에 주목한다. 지난해 4분기 가계대출 연체율의 전년 대비 상승 폭은 △전북은행 0.33%포인트(p) △카카오뱅크 0.27%p △광주은행 0.24%p로 나타났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북은행이 취급한 신용대출 가운데 74.6%가 금리 10% 이상으로 나타났다. 광주은행의 경우, 지난해 12월 취급한 신용대출의 47.3%가 금리 9% 이상 대출이었다.
은행권 관계자는 "중·저신용자에 대한 대출이 많은 은행은 특히 금리 상승기에 연체율이 더 높아진다"며 "대출 실행 때부터 책정되는 금리가 높은 편인데, 계속 금리가 오르니 차주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더 커졌다"고 말했다.
기업대출 건전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대부분 은행이 지난해 가계대출 감소에 대응해 중소기업대출을 늘렸다. 지방은행은 지역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대출이 많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비교적 우량하지 않은 업체에도 대출을 해 주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다"고 말했다.
아울러 부동산PF(프로젝트 파이낸싱)도 금융권 부실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DGB금융지주는 지난해 4분기 부동산PF 등 취약 익스포져 대상 특별충당금을 쌓았다. 증권 1120억원, 은행 160억원, 캐피탈 28억원 등 총 1308억원이다. 물류창고 등 공사가 중단되는 사업장이 일부 나오면서 단행한 조치다.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19(COVID-19) 대출 만기 연장·이자 상환 유예로 인한 연체율 착시가 올해 사라진다"며 "올해는 리스크 관리를 누가 잘 하느냐의 싸움"이라고 말했다.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가계든 기업이든 혹시 모를 부실 발생에 대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