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이커머스 상장 '1호' 오아시스...부진한 수요예측, 왜?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오아시스는 지난 7~8일 양일간 진행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공모가 희망 밴드(3만500원~3만9500원)를 크게 밑도는 2만원대 안팎의 가격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회사가 제시한 밴드 상단(3만9500원)으로 공모가가 정해진다면 1조2535억원의 기업가치가 인정받는 셈이지만, 이번 수요예측 결과만 반영하면 밸류가 절반인 6000억원 가량으로 뚝 줄어든다. 기업과 시장의 시각차이가 그만큼 큰 것이다. 한 기관투자자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공모가 1만6000원에서 2만원 사이에서 결정될 것으로 생각해 낮은 가격을 써냈다"고 말했다. 이커머스업체의 미래 성장성은 생각했지만 회사가 생각한 가격으로 투자하기는 어렵다고 봐서 거품을 걷어냈다는 설명이다.
오아시스가 수요예측에서는 실패했지만 일반공모에서는 이를 만회하는 성과를 낼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한 투자은행 관계자는 "IPO 이후 시가총액 규모는 7000억원 이상 될 것으로 보인다"며 "북(기관 신청수량)도 대부분 찬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시장에서 보는 합리적인 평가는 유니콘 기업들이 제시하는 기업가치가 확실히 비싸다는 것"이라며 "불모지에서 회사를 일군 자신들의 성공경험을 높게 평가하다보니 외부에서 기업가치 할인을 얘기하면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오아시스의 경우 IPO 규모가 크기 때문에 공모가가 눈높이보다 조금이라도 높으면 투자자들이 한번에 외면하는 현상이 있을 수 있었는데, 이를 간과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오아시스의 수요예측이 부진하자 후속 주자로 거론되는 11번가, SSG닷컴 등 상장후보들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오아시스는 상장 강행 또는 상장 연기·철회 갈림길 아래 놓였는데 오는 13일 수요예측 결과를 공시하며 공식 입장을 내놓을 예정이다. 현재로는 공모가를 조정하더라도 상장을 강행하는 쪽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한편 오아시스에 앞서 상장한 미래반도체 (27,900원 ▼200 -0.71%), 오브젠 (40,300원 ▼800 -1.95%), 삼기이브이 (18,640원 ▼140 -0.75%), 스튜디오미르 (35,400원 ▼750 -2.07%) 등은 줄줄이 상장 후 따상에 성공했다. 이날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꿈비 (16,070원 ▼310 -1.89%)도 1만30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상한가 행진에 동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