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임현식 교수 공동연구팀이 '스핀구름' 응축 현상을 통해 새로운 양자 물질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스핀구름은 반도체 내 자성을 가리는 자유전자들이다. 도체나 반도체 내 불순물이 스핀(spin·양자 역학적 입자)을 가질 때 원자 주위 자유전자들이 형성한 스핀구름이 형성된다. 스핀구름은 자기부상열차와 자기공명영상장치(MRI) 등에 활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연구팀은 양자컴퓨터 소자 연구를 하던 중 특이한 신호를 발견했고, 이를 오류가 아닌 새로운 양자 현상이라고 판단했다. 연구팀은 극저온 조건에서 분광학과 전기 전도도 측정을 실시했다.
그 결과 실리콘 금속에서 관측된 양자 물질은 고체·액체·기체·플라스마(Plasma)에 이어 1990년대에 발견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상태 특성을 갖는 새로운 물질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1924년 물리학자 사첸드라 내스 보스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 의해 일반화된 새로운 물질 현상이다. 어떤 물질의 온도를 절대온도 0K(-273.15℃)까지 낮추면 그 입자들은 낮은 에너지를 갖는 양자 상태를 지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실리콘 금속을 이용해 극저온(절대온도 1K, 영하 272.15℃)에서 스핀구름을 응축하면 새로운 양자 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금속과 반도체에서 '스핀-스핀 상호 작용'을 이해하고 고온 초전도체를 포함한 다양한 강상관계 물질을 연구하는 데 쓰일 전망이다. 강상관계 물질은 구성 입자들이 강하게 상호작용해 일반적인 도체나 부도체에서 보이지 않는 특이한 현상을 나타낸다. 이는 새로운 반도체 기술이나 양자 컴퓨터 소자로 활용할 길이 열릴 수 있다는 의미다.
임현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또 다른 양자 응축상태를 생성하고 제어할 수 있다면 양자 소자 기술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실현할 수 있도록 향후 순수 금속에서 스핀구름의 농도 변화에 대한 다양한 스핀구름의 물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이날 국제학술지 네이처 물리학(Nature Physics)에 게재됐다.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 등의 지원으로 연구가 수행됐다. 임 교수는 2001년부터 동국대 교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2002년부터는 일본 RIKEN 초빙연구원을 겸직하며 각종 공동 연구를 수행해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