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지난해 말 기지국 확충 등 조건에 미달한 KT (32,000원 ▲700 +2.24%)·LG유플러스 (11,260원 ▲120 +1.08%)에 주파수 할당 취소를 결정했고, 회수한 28GHz 2개 대역 중 1개 대역(800MHz 폭)을 신규 사업자에 우선 할당해 최소 3년 이상 단독으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나머지 1개 대역은 시차를 두고 할당한다. 제4 이통사 진입을 결심하는 사업자에게 상당 기간 경쟁 없는 안정적 환경을 보장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제4이통사 모델은 '28GHz+알뜰폰'으로 혁신 서비스정부가 기대하는 제4이동통신사의 밑그림도 공개됐다. 기존 이동통신사에서 회수한 5G 28GHz 대역을 신규 사업자에 3년간 단독 제공해 인구밀집지역에 초고속·저지연 핫스팟을 구축하고, 이 밖의 전국망은 알뜰폰(MVNO) 방식으로 커버한다는 구상이다. 올해 투자액은 한시적으로 세액공제 혜택을 높이는 등 신규 사업자의 시장 진입 문턱을 낮추기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이통3사의 독과점 형태가 고착화된지 오래지만, 그간 제4 이통사 시도는 번번이 무산됐다. 하지만 '이번은 다를 것'이라는 게 과기정통부의 기대다. 이통3사 독과점 체제였던 과거와 달리 자급제폰 유통 채널이 대폭 확대된 데다 알뜰폰도 1200만 가입자를 모은 만큼, 홍진배 네트워크정책실장은 "28GHz 핫스팟과 결합하면 시너지가 상당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는 또 신규사업자가 추가로 중·저대역 주파수를 활용해 5G 전국망 구축을 원할 경우 3.7GHz 대역 공급도 검토한다. 앞서 이통3사가 할당 또는 공동 이용을 요구했던 대역이다. 최우혁 전파정책국장은 "SK텔레콤이 요구했던 대역(3.7~3.72GHz)과 신규사업자가 추가로 희망할 수 있는 대역은 충분히 공존이 가능한 범위"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28GHz 서비스 제공에 필수적인 앵커주파수(신호제어 및 과금에 이용)는 활용성이 높다고 평가받는 700MHz 대역과 1.8GHz 대역 중 선정해 할당할 계획이다.
"300곳 핫스팟, 3000억원이면 가능…일부 사업자 문의 있었다"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는 28GHz 신규사업자 진입 지원 TF를 통해 희망 사업자 의견을 듣고, 2월부터 주파수 할당 연구반을 운영한다. 아울러 2분기 중 주파수 할당 방안을 공고하고 올 4분기 신규사업자 선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은 "현재 통신 시장은 통신 3사 중심 체계로 굳어져 사업자 간 품질·요금 등 경쟁이 정체된 상황"이라며 "신규 사업자 진입이 우리 통신 시장에서 차별화된 5G 서비스를 선보이고, 경쟁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일부 사업자의 문의가 있었다"며 28GHz 신규사업자 출현에 대한 기대감을 저버리지 않았다. "단독은 물론 컨소시엄 형태도 다 열려 있다"고도 덧붙였다. 그럼에도 업계에선 과연 눈에 띄는 사업자가 참여할지 반신반의하는 표정이다. 5G 상용화 5년 차에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28GHz 대역은 대중화된 서비스 모델이 등장하지 않은 만큼 수천억원의 비용은 여전히 부담이고, 이통3사마저 성장 정체에 빠진 가운데 '제4이통사'라는 타이틀의 매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다방면의 '당근'을 제시한 정부로서는 자본력을 갖춘 빅테크 등의 참여가 최고의 시나리오겠지만, 28GHz 대역의 차별화된 5G 서비스 모델을 모색하지 않는 이상 시장 상황은 간단치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