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산악지형 특화 '고성능 산불진화차' 도입 진화역량 강화

머니투데이 대전=허재구 기자 2023.01.31 11:00
글자크기

'2023년도 전국 산불방지 종합대책' 발표…지능형 CCTV 24시간 운용 산림 100m 이내 논·밭두렁 소각 금지

산림청은 다음달 1일부터 5월15일까지 봄철 산불조심기간을 운영한다. 남성현 산림청장(사진 왼쪽에서 다섯번째)과 직원들이 31일 정부대전청사 산림청 중앙산림재난상황실에서 봄철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 현판 제막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산림청산림청은 다음달 1일부터 5월15일까지 봄철 산불조심기간을 운영한다. 남성현 산림청장(사진 왼쪽에서 다섯번째)과 직원들이 31일 정부대전청사 산림청 중앙산림재난상황실에서 봄철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 현판 제막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산림청


올해 24시간 연기와 불꽃 탐지가 가능토록 인공지능(AI)이 학습 연계된 지능형 폐쇄회로텔레비젼(CCTV)을 통한 산불감시가 강화되고 산림 100m 이내에서의 논·밭두렁 소각이 전면 금지된다. 또 산악형 고성능 산불진화차와 긴 가뭄 대비 이동형 물주머니가 도입돼 산불위기 대응 능력도 한층 강화한다.



산림청은 31일 점차 대형·연중화되는 산불 위기 대응을 위한 '2023년도 전국 산불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정보 통신 기술(ICT)을 활용한 산불 감시와 의사결정 지원을 한층 고도화하고 에너지시설·문화재 등 국가중요시설 보호를 위한 선제적 대응과 동해안 지역 등 대형산불에 취약한 지역의 진화역량 강화 방안 등이 담겼다.

산불 감지 센서나 AI 학습과 연계되는 CCTV를 이용, 24시간 연기나 불꽃 자동 감지에 나선다. 이를 위해 ICT를 접목한 '산불 예방 ICT 플랫폼'이 그 간 시범사업을 거쳐 산불 위험이 큰 강원과 경북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올해 10개소가 확충, 운영된다.



다음 달 말까지 강원, 경북지역을 중점적으로 산불 위험요인인 화목보일러 사용 가구에 대한 안점 점검에 나서는 한편, 부주의로 인한 산불이 64%에 이르는 점을 감안해 산림 인접지역(100m이내)에서의 쓰레기나 논·밭두렁 태우기도 전면 금지한다. 이를 위해 특별사법경찰(1269명)과 유관기관이 협력(산림·농정·환경부 합동점검반)해 산림 인접지역 소각산불 단속도 적극 추진한다.

산불 발생 시 연료물질 역할을 할 수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훈증처리목은 대형산불발생 우려지역과 산불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우선 수집·파쇄해 산불 위험 요소를 사전 제거하고 에너지 자원 등으로 활용한다.

다가오는 정월대보름(2월5일)은 민속놀이, 무속행위로 인한 산불 발생 위험성이 높은 만큼 행사장별 책임 담당 공무원을 지정하고 산불감시인력의 근무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등 맞춤형 산불방지를 추진한다.


ICT 기반의 '산불상황관제시스템'에 원전·가스·송전시설·문화재 등 국가 중요시설물(14만6000개소) 위치를 탑재해 실시간 산불을 관리에 나선다. 특히, 원전·액화천연가스(LNG) 및 유류 저장시설과 산업단지 등의 주변에 대해서는 이격거리를 두는 등 산불방지 안전 공간을 조성하고 자체적인 진화장비 확보 및 합동 진화훈련도 적극 실시한다.

산림청이  31일 '2023년도 전국 산불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했다./사진제공=산림청산림청이 31일 '2023년도 전국 산불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했다./사진제공=산림청
계속되는 동해안 지역 대형산불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오는 2025년까지 '국립 동해안산불방지센터(울진)'를 신설한다. 아울러 남북 접경지역의 사각지대 없는 산불 대응을 위해 올해말 'DMZ 항공관리소'도 설치한다. 이럴 경우 전국 13개 권역에 출동 태세가 갖춰지게 된다.

긴 가뭄이나 산불 장기화로 인한 급수 여건 악화나 한파로 인한 결빙 방지 대책도 마련한다. 이를 위해 진화헬기를 이용, 산 정상부나 능선에 물을 공급해 진화용수로 활용토록 이동형 물주머니(30개, 900ℓ)를 도입하고 한파에 대비 결빙방지 장치(47개소)와 이동식 저수조(45세트) 등도 마련한다.

다음 달 부터 산악지형에 특화된 고성능 산불진화차(18대)를 순차적으로 도입한다. 이 고성능 산불진화차는 기존 진화차에 비해 담수량이 3배 더 많고(3000ℓ) 험준한 산악지형에 적합해 임도를 활용, 방화선을 구축하는 등 직접 진화에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원, 경북 동해안 지역부터 우선적으로 배치할 예정이다.

야간산불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드론에 열화상카메라를 장착, 야간에 화선과 이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드론산불진화대(10개팀)를 운영한다.

올해 산악기상관측망을 16개 신설(누적 480개) 하는 등 오는 2027년까지 640개소까지 확충해 산불위험예보의 정확도를 90%까지 높인다. 동시다발 산불이 난 경우 확산예측에 기반한 진화 자원의 최적 배치 알고리즘을 개발해 진화 전략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산불상황관제시스템', '산불확산예측시스템' 고도화와 함께 예방·대비를 위한 산불행동 모의실험기(시뮬레이터), 산불 취약지수 등을 연계해 디지털 통합 산불관리 체계로 확대해 나간다.

지자체 임차 헬기 비행안전 확보를 위해 이·착륙 대기장소 개선을 위한 예산을 지원(특교세 포함 16억원 / 8개소)하고 헬기 안전사고예방을 위한 공중 산불진화 지휘체계를 강화하고자 공중지휘통제관(ACC), 지상안전통제관(GSC) 제도도 도입한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지난해 산불은 10년 평균치(535건)보다 38% 증가한 740건이 발생하면서 공익적 가치(8374억원) 등을 포함, 1조 3452억 원의 피해를 냈다" 며 "올해 종합대책을 토대로 지자체와 행안부, 국방부, 소방청, 기상청,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산불재난 대처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