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노바이오는 SCI평가정보, 이크레더블로부터 각각 A, BBB 등급을 받아 기술성평가를 통과했다. 상반기 중 코스닥 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다. 상장주관사는 NH증권과 KB증권이다.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해서는 한국거래소가 지정하는 두 곳의 전문평가기관이 시행하는 기술성평가에서 A, BBB 등급 이상을 받아야 한다.

PINOT-ADC 플랫폼 기술은 체내 Top-1 효소를 저해하는 캠토테신계 약물(payload) 기술과 최적의 링커 조합 기술로 구성된다. 특히 캠토테신계 약물은 다이이찌산쿄의 엔허투(Enhertu), 길리어드의 트로델비(Trodelvy)와 같은 블록버스터 ADC 신약개발 성공으로 인해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다.
피노바이오는 ADC 후보물질 'PBX-001'의 생체 내(in vivo) 효력시험에서 트로델비 대비 높은 효능과 안전성을 확보했으며, 올해 하반기 IND(임상시험계획서) 신청을 목표로 전임상 개발을 진행 중이다.
정두영 대표는 "최근 일라이릴리-이뮤노젠, 머크-켈룬의 대규모 기술이전 사례처럼 최근 ADC 시장에서는 안전하면서 강력한 효능을 갖춘 캠토테신계 약물 수요가 높다"며 "보유한 기술은 해당 분야에서 차별화된 강점을 가졌기 때문에 향후 추가적인 사업 성과가 기대된다. 연내 IPO(기업공개) 일정도 차질 없이 잘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피노바이오는 설립 이후 약 5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했다. 주요 투자자는 미래에셋벤처투자, IMM인베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 스톤브릿지벤처스, 컴퍼니케이파트너스, 스틱벤처스 등이며, 전략적 투자자는 상장제약사 에스티팜, 셀트리온 등이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