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사, 경쟁은 NO"…시공사 선정 어려움·달라지는 조합 3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GS건설 (20,100원 0.00%)은 이달 서울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 재건축사업(공사비 3342억원) 시공사로 최종 선정됐다. 동대문구 청량리6구역 재개발정비사업(공사비 4869억원) 역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계약을 앞두고 있다. 둘다 서울 주요 입지의 도시정비사업이지만 경쟁 입찰이 아닌 GS건설이 단독 입찰해 수주로 이어졌다.
DL이앤씨 (31,700원 ▲150 +0.48%)도 이달 서울 강북구 강북5구역 공공재개발 사업(공사비 3151억원) 시공사로 선정돼 마수걸이 수주에 성공했다. 이 사업장 역시 DL이앤씨의 두 차례 단독 입찰 후 수의계약으로 전환돼 이달 총회에서 최종 시공사로 낙점됐다.
건설사들이 경쟁적으로 시공사 입찰에 뛰어들지 않자 '컨소시엄 불가'라는 입찰 조항을 변경하면서까지 건설사 모시기에 나선 곳도 생겨난다. 삼성물산 (108,000원 ▼100 -0.09%)과 현대건설 (35,850원 ▼50 -0.14%)은 2021년 서울 성동구 금호벽산 리모델링 사업 수주 이후 처음으로 울산시 중구 교동 B-04 구역 재개발 사업에 컨소시엄을 꾸려 참여할 예정이다.
울산 교동 B-04구역 재개발 조합은 지난해 1·2차 입찰, 3·4차 사업설명회까지 열었지만 시공사 선정에 실패했다.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관심을 보였지만 입찰에는 응하지 않았다. 울산에서 가장 큰 규모인 4000가구의 대단지로 업계의 이목을 끌었지만 조합에서 제안한 공사비 등을 따졌을 때 수익성이 높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를 넘겨도 시공사 선정에 어려움을 겪던 조합은 '컨소시엄 금지'라는 조항을 삭제했다.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의 컨소시엄인 삼성현대사업단(가칭) 참여를 제안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입찰을 망설이던 해당 건설사들은 조합에서 먼저 제안을 했고 컨소시엄이면 단독 보다는 초기 자본 부담 등 리스크를 나눌 수 있어 올 1분기 내에 입찰제안서를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경쟁 유도를 위해 '컨소시엄 금지'를 고집했던 다른 조합들도 서울 일부 사업지를 제외하고는 시공사 선정 경쟁 구도가 만들어지지 않고 있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가능성이 높다. 컨소시엄은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을 때는 자금 조달과 미분양 등의 부담을 복수의 건설사가 나눌 수 있어 공사 중단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건설사의 선별 수주, 단독 입찰 분위기는 이어질 전망이다. B대형사 관계자는 "경쟁을 하면 비용 증가로 공사비 원가를 맞출 수가 없다"면서 "향후에도 경쟁 입찰은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일부 대형사는 기존에 수주한 사업 단지도 수익성을 재점검하고 일부는 사업은 포기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