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의 공연 키워드는 '70~80년대 청춘기의 첫사랑'으로 압축될 수 있을 것 같다. 음악의 역사를 보면, 15~19세기 클래식시대(르네상스, 바로크, 고전파, 낭만파, 국민파)는 유럽의 전유물이었고, 20세기 대중음악시대(블루스, 재즈, 록, 라틴 등)는 미국과 중미 카리브해 지역(팔려온 아프리카 노예들의 노동가)이 대부분 음악장르의 산파역할을 했다.
80년대 그래미어워드 최우수 여성 록보컬상을 4년 연속 받은 팻 베네타와 80년대를 풍미한 전설적인 미국 록그룹 본조비 등 80년대 이후 뮤지션들은 대부분 70년대의 주요 장르들의 연장선에서 음악활동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서 60년대의 경우 베트남전쟁과 미국내 반전운동 및 히피운동 속에서 몽환적인 '사이키델릭 록'(도어즈, 지미 헨드릭스, 비틀즈 등)이 유행하기도 했으나, 60년대 소위 '3J, 27세 클럽'으로 불리는 재니스 조플린, 짐 모리슨(도어즈), 지미 헨드릭스 세 음악천재가 폭음과 마약 등으로 27세에 요절하는 등 질풍노도와 극단의 암울한 음악기로 평가될 수 있겠다.

한편 이날 콘서트는 공연&문화허브 M터치의 신년회와 함께 열려, M터치의 김태식 고문(한국유나이티드제약 전무·산업포장 수훈), 정현식 회장(슈가버블/가자주류백화점 회장,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회장), 이춘희 자문위원(메가박스영종·예스코리아 이사, 분당교육채널 대표), 김택윤 자문위원(야다엠 대표), 안외선 감사(우주영재과학 대표) 등 다수 임원진들이 참석해 공연팀들과 격의없이 어울리며 격려했다. 김태식 고문은 견과류세트 고급비누 비타민미네랄 천연샴푸 등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의 우수상품들을 다량 협찬, 다수에게 나눔을 줌으로써 행사를 더욱 풍성하게 했다.
모든 대중음악의 기초라 할 수 있는 블루스/리듬앤블루스와 재즈의 성장·발전으로 미국은 20세기 세계 음악의 제왕이 됐다. 21세기 들어 클래식과 대중음악의 양대산맥에서 급속도로 우뚝선 것은 바로 한국 'K팝/K클래식'이며, K팝은 이제 한국을 먹여살리는 주요 산업 중 하나가 됐다. 클래식의 피아니스트 임윤찬, 대중음악의 BTS(방탄소년단) 같은 세계 최정상급 월드스타들이 등장한 것은 수많은 음악애호가 및 유망주들의 폭넓은 저변 위 경쟁과 자극에 힘입은 것이다.
공연&문화허브 'M터치'는 2023년부터 '사계절콘서트'를 매달 진행, 연간 총 70여개 공연팀에 총 4,000여만원의 음악소풍비를 지급하면서 공연문화 저변확대에 일조하고 있다.
<'영종 더예스&M터치 겨울콘서트(YYC. Yes!! Yeongjong Concert)' 참가 공연팀 명단>
*메가박스영종 '스페이스184', 오후 4~6시 콘서트.
◆(2차) 2023년 1월 28일(토)
△여우비밴드(혼성8인조/인천 경기/보컬 신미정 노미숙)
(1) What's up - 4non blonds
(2) Heartbreaker - Pat beneter
(3) 환희(Live버전) - 정수라
(4) 어른아이 - 거미
△라.일.락밴드(혼성5인조/서울/보컬 안상준)
(1) 그대로 그렇게 - 홍경민
(2) Runaway - Bon-jovi
(3) Living on a prayer - Bon-jovi
(4) Separate ways - Journey
△당연밴드(혼성5인조/인천/보컬 권이재)
(1) 고백 - 델리스파이스
(2) I don't think that I like her - Charlie Puth
(3) Torn - Natalie Imbruglia
(4) What I've done - Linkin Park
△맘마미아밴드(여성6인조/서울 수도권/보컬 김은주)
(1) 사랑과평화 메들리
(2) Jambalaya - Carpenters
(3) Besame mucho - Trio Los Panchos
(4) Venus(영화 '내 남자 길들이기') - Shocking blue
['영종 더예스&슈가버블&M터치 사계절/겨울콘서트' 개요]
△행사내용: (1차) 2022년 12월 17일(토), (2차) 2023년 1월 28일(토), (3차) 2023년 2월 18일(토) 오후 4~6시 콘서트(2~4시 리허설).
△취지: 한국의 관문(인천국제공항)/엔터테인먼트 복합리조트(인스파이어, 파라다이스시티 등) 국제도시 영종도에서 문화예술 나눔, 직장내 워라밸 문화 확산, 사회적 예술치유 무브먼트, 공연예술인 지원(기업 메세나).
△공연참가팀 및 공연곡: 3인조 이상 공연팀으로 매회 총 6개팀, 각 3곡씩 공연. 직장인/사회인/대학생/청소년밴드, 중창팀, 전문연주팀 등 환영(대중가요, 월드뮤직, 클래식 등 장르·연령불문).
△공연장소: 메가박스영종 '스페이스184'(영종대로 184, 예스타워 7층).
△공연비(음악소풍비): 팀당 50만원(연간 총 4,000여만원 공연비, 1,000만원 상당 경품선물 지급).
△주최/특별후원: 예스코리아/메가박스영종, 슈가버블/씨앤씨케미칼/가자주류백화점,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관: 공연&문화허브 M터치.
△후원: 머니투데이(2023 머니투데이대학가요제), 야다엠, 오썸피아, 우주영재과학, 에스엔이노베이션, 탱커(주), 대학로문화축제추진위원회, 월드에이드.
△공연팀 모집/공지 사이트(M터치 주관 가요제 공식카페): cafe.naver.com/cgs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