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 늘 때 관세 줄였더니...식품수입액 20% 증가

머니투데이 지영호 기자 2023.01.26 15:23
글자크기

(종합)식약처 2022년 수입식품 통계 발표

(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수입 곡물의 가격이 최근 2년 새 47%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16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의 한 재래시장에 수입산 곡물이 진열되어 있다.  이날 관세청과 식품업계에 따르면 올해 2월 곡물 수입량은 196만4천t(톤), 수입금액은 7억5천831만달러로 집계됐  t당 가격은 386달러로, 지난해 동월(306달러)보다 26.0% 올랐다.  이로써 올해 2월 t당 수입 곡물의 가격은 2013년 5월(388달러) 이후 8년9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오일쇼크’에 이어 국제 곡물가격이 급등하는 ‘애그리플레이션’(Agriflation)이 가속화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극대화하고 있다. 2022.3.16/뉴스1   (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수입 곡물의 가격이 최근 2년 새 47%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16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의 한 재래시장에 수입산 곡물이 진열되어 있다. 이날 관세청과 식품업계에 따르면 올해 2월 곡물 수입량은 196만4천t(톤), 수입금액은 7억5천831만달러로 집계됐 t당 가격은 386달러로, 지난해 동월(306달러)보다 26.0% 올랐다. 이로써 올해 2월 t당 수입 곡물의 가격은 2013년 5월(388달러) 이후 8년9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오일쇼크’에 이어 국제 곡물가격이 급등하는 ‘애그리플레이션’(Agriflation)이 가속화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극대화하고 있다. 2022.3.16/뉴스1


외식 늘 때 관세 줄였더니...식품수입액 20% 증가
지난해 식품 수입액이 2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외식수요가 늘어난데다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수입식품에 대한 관세를 낮춰준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6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수입식품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식품 수입액은 389억5499만달러(약 48조원)로 전년대비 19.6% 증가했다. 수입중량은 3% 늘어나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 1.3%를 훌쩍 뛰어넘었다. 다만 수입신고 건수는 1.5% 감소했다. 건당 수입규모가 커진 것으로 해석된다.

품목별로 보면 건강기능식품이 2만7045톤 수입돼 전년대비 20% 늘어났고 축산물이 14.5%, 수산물이 7.7%, 기구·용기·포장이 4.2% 증가했다.



건강식품은 최근 5년간 연평균 18.9% 증가했는데 지난해 증가폭이 컸다. 특히 단일 기능성 제품보다 복합 영양제품 선호도가 높아진 영향으로 복합영양소제품의 증가율이 51.6%를 기록했다. 웰빙을 지향하는 소비 트랜드가 강해졌고 코로나19로 건강관리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영향이라는게 식약처의 분석이다.

(세종=뉴스1) 김기남 기자 =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왼쪽)이 1일 오전 단순가공식품 부가가치세 면제 시행 상황을 점검한 뒤 할당관세 0% 시행으로 가격이 인하된 캐나다산 돼지고기 판매 코너를 둘러보고 있다. 2022.7.01/뉴스1  (세종=뉴스1) 김기남 기자 =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왼쪽)이 1일 오전 단순가공식품 부가가치세 면제 시행 상황을 점검한 뒤 할당관세 0% 시행으로 가격이 인하된 캐나다산 돼지고기 판매 코너를 둘러보고 있다. 2022.7.01/뉴스1
축산물은 지난해 185만톤이 수입됐다. 최근 5년 평균 증가율(2.6%)을 5배 이상(11.9%포인트) 뛰어넘은 수치다. 품목별로 보면 돼지고기 수입량이 25.9%, 닭고기 수입량이 54.0% 증가했다. 물가나 수급안정을 위해 일정기간 관세를 줄여주는 할당관세가 지난해 6월과 7월부터 각각 적용되면서 수입량이 늘었다는 설명이다. 돼지고기의 경우 수입물량의 27.0%를 스페인산이 차지했고, 닭고기는 89.5%가 브라질에서 들여왔다.

가공식품 수입량은 신고기준 649만4542톤으로 예년과 비슷한 1.1% 증가했다. 가공식품 중 수입량 상위품목은 식품원료, 과일채소가공품, 김치, 정제소금, 맥주 순이다. 이중 김치 수입량이 3년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2021년 24만3124톤에서 지난해 26만3498톤으로 8.4% 증가했다. 식약처는 코로나19로 위축되었던 외식업이 다시 살아나고 국내 물가상승에 따라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중국산 김치의 소비량이 증가한 것이 주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수입맥주는 줄곧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맥주수입량은 23만1148톤으로 전년도 26만102톤 대비 11.1% 감소했다. 수제맥주의 성장과 와인과 위스키(하이볼) 인기로 해외 맥주 수입이 줄었다는 설명이다. 국내 수제맥주시장은 2019년 800억원에서 2020년 1180억원으로 늘어났고, 와인 위스키 수입량은 2019년 7만228톤에서 지난해 11만3742톤으로 증가세가 이어졌다.

국내에서 수입하는 식품 원산지는 미국과 중국이 양분하고 있다. 미국이 342만톤, 중국이 317만톤이다. 두 국가에서 수입된 식품은 전체 수입량의 33.8%다. 지난해 통관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이 내려진 사례는 모두 1427건으로, 부적합률은 0.18%다. 최근 5년간 부적합률은 0.17%다.

식약처 관계자는 "안전한 식품을 수입하기 위해 정밀검사, 무작위 표본검사 등 통관검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부적합 제품은 수출국으로 반송 폐기조치해 국내에 유통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안전관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