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간담회에는 최근 수출 선박을 구하지 못해 애로를 겪고 있는 르노코리아와 쌍용차 △한국해양공사(해진공)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해운협회 △현대글로비스 △유고카캐리어스 등 관련 업계 관계자가 참석한다.
선사들이 코로나19(COVID-19) 대유행 이후 자동차 운송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새 선박 발주를 자제한 탓에 전세계 자동차 운반선 수는 코로나 대유행 이전 약 770척에서 현재 약 750척으로 감소했다.
해수부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자동차 수출물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한편 지원 방안을 발표하기로 했다. 우선 해수부는 국적선사와의 협조를 바탕으로 자동차운반선 대신 컨테이너선에 차량을 수출하도록 지원하는 등 대체 선택지를 제공할 방침이다. 자동차운반선 부족 현상이 심한 극동아시아-유럽 항로의 물류 애로 해소를 위해 유럽 기항 선사를 중심으로 일부 컨테이너선을 자동차 수출에 전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아울러 현재 인천항, 평택당진항, 군산항 등 8개 항만에 허용된 자동차 화물 연안운송 허용범위를 포항항까지 확대해 야적장 포화 등 비상시 포항항으로 자동차를 옮길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장기적으로는 자동차 물류 애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해진공의 정책금융을 동원해 국전선사의 자동차운반선 확보를 지원한다. 해진공은 해운업계와 자동차운반선 도입 수요와 경제성 등을 검토하고 지분투자 혹은 한국형 선주사업 등으로 지원한다. 이 같은 방식으로 마련한 자동차운반선은 화물 수송 능력의 일부분을 국내 중견 자동차 업계 화주에 할당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국내 자동차 업계가 선박 부족과 운임 상승으로 수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관련 기관과 협력하여 수출애로가 해소될 때까지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