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은 지난해 9월 대마 재배 혐의 등으로 경찰에서 구속송치된 A씨(39) 사건을 수사하던 중 A씨가 해외 마약상으로부터 받은 마약을 숨기고 매매를 알선한 정황을 포착했다. 이후 A씨를 통해 구매한 회사원 B씨(33)와 가수 안모씨(40), 대마를 사고 판 김모씨(36) 등을 구속기소했다.
이어 홍씨로부터 대마를 매수한 효성가 3세 조모씨(39)와 JB금융지주사 전 회장의 사위인 임모씨(38) 등을 대마 매수 및 흡연 혐의로 불구속 기소하면서 사건은 재벌가 마약 스캔들로 번졌다.
이들로부터 수차례 대마를 구매하고 흡연한 회사원, 연예기획사 대표 등 5명도 구속기소됐다.
검찰 수사가 확대되자 자수하는 이들도 잇따랐다. 김대중 정부 시절 경찰청장을 지낸 B씨의 아들과 회사원 등 4명은 남양유업 일가 홍씨로부터 대마를 구매했다며 지난달 자수해 불구속 기소됐다. 이들은 홍씨가 기소되자 선처를 바라며 자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벌가 등 사회 유력층인 이들은 자신들만의 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해 은밀하게 대마를 피워왔다. 이들은 대부분 해외 유학시절 대마를 접한 뒤 귀국 후에도 이를 끊지 못하고 수년간 흡연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구속기소된 가수 안씨의 경우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집에서 대마를 재배하다 적발됐다. 미국 국적의 회사원 C씨는 임신 중인 아내와 떠난 '태교여행'에서 대마를 피우기도 했다. 남양유업 일가 홍씨에게 대마를 판매한 김씨는 형제가 함께 직업적으로 대마를 판매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 관계자는 "수사 과정에서 과거 대마범죄로 단속, 처벌받은 전력이 있음에도 재범할 정도로 대마의 중독성과 의존성이 심각함을 확인했다"며 "최근 마약이 연령·계층·성별·지역을 불문하고 확산될뿐 아니라 마약 사용에 대한 죄의식도 약해지고 있어 다시 마약 청정국의 지위를 회복할 수 있도록 마약범죄에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