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안전성평가연구소에 따르면, 이규홍 인체유해인자 흡입독성연구단장 연구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입자·섬유 독성학'에 이같은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 이번 연구는 폴리프로필렌 나노 플라스틱이 호흡기에 노출될 경우 폐 손상이 유발되는 기전을 실험 동물과 세포주로 입증한 첫 번째 결과다.
연구팀은 나노 플라스틱 유해성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사람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플라스틱은 대기 중 부유해 인체에 침투할 수 있다. 그동안 1㎛ 이하 나노 플라스틱이 폐에 도달해 천식과 폐 섬유화 등 다양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나왔다.
연구팀은 폴리프로필렌 나노 플라스틱을 실험동물 기도에 서서히 떨어뜨린 후 경과를 지켜봤다. 그 결과 나노 플라스틱은 폐로 침투해 손상을 유발했다. 특히 몸속에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침투했을 때 이를 막아내는 기능이 떨어지는 염증 반응이 관찰됐다.
또 인간 폐암 상피세포주(A549)에 폴리프로필렌 나노 플라스틱을 노출시켜 폐 손상 기전을 확인했다. 특히 나노 플라스틱에 노출된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세포 소기관) 손상이 일어났고,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신호전달경로(MAPK)를 통해 세포 손상과 염증이 나타났다.
이규홍 단장은 "이번 연구는 폴리프로필렌 나노플라스틱 흡입 노출에 따른 인체 유해성을 확인한 첫 번째 연구"라면서 "향후 나노 플라스틱과 흡입 독성 연구 간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