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에 많은 세대가 설 연휴 직전 날아든 '난방비 폭탄'에 모두 당황해하고 있다. 경기도 용인시의 한 아파트에서는 '난방비가 고지서에 고지된 금액이 잘못 고지된 게 아니다. 죄송하지만 조정할 수 있는 게 없다. 문의 전화를 자제해 달라'는 방송을 설 연휴 전후 내보내기도 했다. 특히 이 아파트처럼 중앙난방을 쓰고 단열이 떨어지는 노후 아파트의 경우 개별·지역난방 대비 체감하는 난방 요금 인상 폭도 크다.
도시가스 요금은 액화천연가스(LNG)를 수입하는 한국가스공사가 도매 요금을 책정하고 각 시·도가 공급 비용을 고려해 소매 요금을 결정한다. 지역난방 가구에 부과되는 열요금은 집단에너지 사업자가 도시가스 요금에 연동해 이를 조정한다. 정부는 주택용을 기준으로 지난해 메가줄(MJ·가스 사용 열량 단위) 당 5.47원씩 도시가스 요금을 인상했다. 1년간 주택용 도시가스 도매요금 인상률은 42.3%에 달한다.
정부는 물가 부담을 이유로 올 1분기 도시가스 요금은 동결했지만 2분기 이후의 요금 추가 인상을 사실상 확정했다. 정부는 지난해 말 2026년까지 가스공사의 미수금을 해소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해 12월 전기·가스요금 조정안 설명문에서 "한전과 가스공사 경영을 정상화하고 에너지 공급 지속성을 확보하는 등 근본적 문제 해결을 위해선 전기·가스요금 조정이 불가피하다"며 "2분기 이후의 인상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들은 난방비 인상에 실내 온도를 낮추는 등 자구책을 나선 모습이다. 실제 온라인 커뮤니티 등 난방비 폭탄 명세서를 받아든 시민들은 경량 패딩 입기, 창문과 문틈에 방풍 커튼 씌우기 등 난방비 절감 요령을 공유하고 있다. 정부와 공공기관은 지난해 12월부터 실내 난방온도 상한을 역대 최저인 17도까지 낮췄다.
정부 차원에서 에너지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주부 한모씨(38)는 "아이들도 내복에 가벼운 외투를 입고 최대한 낮은 온도에서 생활하는데도 난방비가 줄지 않으니 걱정이 된다"며 "안 오르는 물가가 없는데 허리 졸라매는 것 외에 할 수 있는 게 없으니 막막하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전과 가스공사의 고강도 자구노력만으로는 재무위기를 극복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인상은 불가피하나 저소득 취약계층 가구가 현금처럼 쓸 수 있는 에너지바우처 확대 등을 통해 겨울나기에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