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편송금에서 시작한 토스가 은행·결제·보험·증권 등 핀테크 영역을 넘어 승차공유 서비스와 알뜰폰 등 일상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어 '도전의 아이콘' 이승건 대표의 이번 투자 배경을 놓고 업계의 관심이 뜨겁다.

이어 "지금 새 아이템을 찾는 중이라면 뉴스 플랫폼 시장에 한 번 관심을 가져달라. 챗GPT(ChatGPT)를 통한 리얼타임 포스팅, 탈중앙화 금전적 보상(Decentralized financial incentives) 등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챗GPT는 사람과 상당히 비슷한 수준의 글을 쓸 수 있는 획기적인 성능을 보이며 IT 업계의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최대 100억달러(약 12조원)의 투자를 고려 중이라는 보도가 나오는 등 연일 국내외 언론에서 관련 기사가 쏟아지고 있다.
이승건 대표는 포털 등 플랫폼에 종속적인 웹2.0 시대의 뉴스 소비 행태를 벗어나 '기여와 보상'이라는 웹3.0 생태계로의 변화에 챗GPT 기술을 접목해 일반인 누구나 다양한 의견과 다양한 주제를 다룰 수 있는 새로운 뉴스 소비문화를 창출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토스 "개인적 의사표시일뿐 사업 확장과는 무관"

이 대표는 "한국에서 믿고 맡길 수 있는 보모(nanny)를 찾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라며 "보모를 찾을 때 100명씩 인터뷰를 보는 부모들도 많다. 훌륭한 보모 없이는 회사 일에 집중할 수 없고 그로 인해 정말 많은 직장인이 고통받고 있다"고 했다.
이어 "좋은 보모를 구할 수 있는 플랫폼에 대한 아이디어를 실행할 창업자를 찾는다"며 "필요한 만큼의 초기 투자를 하겠다. 토스 커뮤니티가 첫 기업고객사가 되겠다. 펀딩과 첫 고객도 secure(확보)돼 있다"고 덧붙였다.
비바리퍼블리카 측은 이 대표가 언급한 일련의 투자 의향들이 개인적인 의사표시로 사업 확장 등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토스와 관련 없이 창업 선배로서 스타트업에 사비로 지분 투자를 해왔으며 이번에도 마찬가지라는 설명이다.
사내 투자팀 토스벤처스, 유망기업에 지속 투자

2021년 10월 승차공유 서비스 '타다'를 운영하는 VCNC의 지분 60%를 인수한 것과 지난해 10월 알뜰폰 사업자 머천드코리아의 지분 100%를 인수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지난해 7월 비상장 주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 쿼타북에 약 25억원을 투자했다.
아울러 2021년 11월 미국 비상장주식 투자 플랫폼 리퍼블릭(Republic)에 실행한 지분 투자는 토스벤처스 주도로 이뤄진 첫 해외 투자다. 투자규모는 500만달러로 지분율은 약 1% 정도로 알려졌다.
토스벤처스는 토스와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는 좋은 투자 기회라면 투자 방식과 규모는 물론, 국내·해외를 가리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방침과 이승건 대표의 도전·확장 정신이 맞물려 '금융 슈퍼앱' 토스가 어떤 플랫폼으로 성장할지 업계의 관심이 커진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