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는 주주클럽 이전에도 '델리클럽', '여행클럽', '홈슐랭클럽', '마이펫클럽', '베이비&키즈', '패피클럽', '미트클럽' 등 세분화된 영역의 멤버십을 운영해왔다. 각 분야를 집중적으로 소비하는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11번가는 지난해 7월 아마존글로벌스토어에 특화한 멤버십인 '우주패스 슬림' 멤버십을 출시했다. 월 2900원에 △SK페이포인트 2000 포인트 적립 △아마존 장바구니 할인쿠폰 5000원(2만원 이상 구매 시) △아마존 글로벌 스토어 무료 해외배송 △11번가 익일배송 서비스 '슈팅배송' 무료 반품·교환 등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신세계백화점도 2021년 7월 경기점에 식품관 전용 유료멤버십인 '프라임 서비스' 선보인 바 있다. 연회비 5만5000원을 내면 △최대 40% 할인 등 회원 특가 △최종 결제금액 3~5% 추가 할인 △웰컴 기프트 등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신세계백화점은 멤버십 점포를 하나둘 늘려 현재는 대전신세계 Art&Science점과 광주신세계에서도 멤버십을 운영 중이다. 프라임 멤버십 가입 고객 매출은 가입 전보다 15%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특정 카테고리나 서비스에 특화한 멤버십은 통합 멤버십보다도 단골 고객 확보에 유리하다"며 "고객들의 취향이 점차 구체적으로 변하고 있는 만큼 더 세분화한 멤버십을 통해 고객을 끌어들이려는 의도"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