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태범 신경과 교수는 파킨슨병은 무섭게만 여길 질환이 아니라 관리만 잘 하면 충분히 안정적인 삶을 누릴 수 있는 질환이라고 강조했다. / 사진=경희대병원
흔히 '파킨슨병' 하면 많은 이들이 무서운 질환으로 여긴다. 하지만 '관리가 가능한 병'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게 의학계의 견해다. 실제로 운동과 약물 치료로 10년, 20년 이상 파킨슨병을 잘 관리하며 지내는 환자도 적지 않다. 경희대병원 신경과 안태범 교수는 "암은 해당 조직을 제거해야 치료되지만, 파킨슨병의 치료는 곧 '관리를 잘한다'는 의미와 같다"고 강조한다. 운동과 함께 단계별로 적절한 약물 치료를 병행하고, 필요에 따라 '뇌심부 자극술' 등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도 있다. 뇌심부 자극술은 감각기능을 조절하는 시상하핵 부위에 전기자극 장치를 넣어 감각기능 이상을 유발하는 비정상적인 신호를 차단하는 수술법이다. 조기에 발견하고, 잘 관리하면 안정적인 삶을 누릴 수도 있다.
파킨슨병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은 '과잉행동'과 '과소행동'으로 나뉜다. 과잉행동의 대표적인 증상은 가만히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떨림이고, 과소행동은 느려지거나 둔해지는 증상이다. 글씨·목소리가 작아지는 것, 냄새를 잘 못 맡거나 침을 흘리는 것 등도 여기에 포함된다. 어르신의 경우 '이런 증상은 나이 들면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것'이라고 여겨 내원을 미루다가 파킨슨병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자다가 배우자를 때린다든지, 침대에서 떨어진다든지 하는 수면장애나 대변을 잘못 보는 증상도 파킨슨병의 초기 증상이다. 간혹 허리·어깨·무릎에서 발생하는 통증이 외과적으로 명확하게 진단되지 않을 때도 파킨슨병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파킨슨병 환자에서 떨리는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도 환자마다 떨림의 정도와 약에 대한 반응이 다르다. 떨림으로 생기는 일상이나 사회 활동 제약의 정도도 다르다. 안 교수는 "파킨슨병 환자마다 개별화해 진단·치료해야 한다"며 "환자 입장에서는 지금 당장의 증상과 치료만 생각하기 쉽지만 의료진은 보다 큰 그림으로 전체 치료 계획을 세우고, 환자가 이를 납득할 수 있도록 설득하고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