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민생금융점검 당정협의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2.11.06.](https://thumb.mt.co.kr/06/2023/01/2023011310160988593_1.jpg/dims/optimize/)
이날 간담회에는 강민균 JKL파트너스 대표, 김수민 유니슨캐피탈코리아 대표, 김영호 IMM프라이빗에쿼티 대표, 박태현 MBK파트너스 대표, 임유철 H&Q코리아파트너스대표, 채진호 스틱인베스트먼트 대표, 한상원 한앤컴퍼니 대표, 현승윤 스톤브릿지캐피탈 대표 등 8개 기관전용사모펀드 운용사 대표가 참석했다.
이 원장은 "선제적으로 기업 구조조정을 추진해 기업의 지배구조와 재무구조를 합리화하고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다"며 "활발한 M&A(인수합병)으로 차세대 핵심사업 중심으로 산업구조를 개편해 기업 생태계의 역동성도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내부통제 기능과 준법의식을 높여 여전히 사모펀드 시장 전반에 남아있는 불신의 꼬리표를 떼는 데 앞장서달라"며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도 최근 사모펀드 보고의무를 확대하고 불건전 영업행위 금지 규정을 도입하는 등 감독을 강화하는 추세"라며 감독 강화 의지를 내비쳤다.
마지막으로 경영참여형 펀드뿐만 아니라 크레딧펀드나 대출형 펀드 등 투자운용전략을 다양화 해달라는 당부도 넣었다.
그는 "2021년 제도개편으로 다양한 형태의 자산운용 전략이 가능해졌지만 여전히 비(非)경영참여형 펀드 규모는 2조5000억원 규모에 그치고 있다. 작년 기준 전체 출자약정액(124조)의 2% 수준"이라며 "창의적인 투자전략 모색을 통해 국내 사모펀드 업계의 경쟁력 강화와
기관투자자의 새로운 투자기회 확보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덧붙였다.
사모펀드 대표들은 "현재 기존 펀드의 회수가 지연되고 기관투자자의 보수적 의사결정으로 신규자금 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면서도 "앞으로 한계기업 증가 등 기업 구조조정 수요가 확대될 경우 다양한 투자기회가 생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감독당국이 기업 자금조달 어려움을 해소하고 금융회사 리스크관리를 강화해 시장 안정화에 힘써달라"고 의견을 밝혔다.
이에 이 원장은 "기관전용사모펀드가 기업 경영혁신의 멘토이자 성장 파트너로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