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소도시 조성사업은 수소 에너지원을 공동주택, 건축물, 교통시설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수소생산시설, 이송시설(파이프라인, 튜브 트레일러 등), 활용시설(연료전지 등) 등 도시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평택 남양주 당진 보령 광양 포항 등은 내년부터 수소도시 조성사업에 새롭게 참여한다. 지자체 당 4년간 400억원(국비 200억원, 지방비 2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내년에는 105억원(국비와 지방비 반반)이 수소도시 조성사업으로 투입된다.
남양주시는 3기 신도시에 수소도시 인프라를 구축해 차별화된 수소경제중심 자족도시로 조성한다. 신도시내 공공주택, 공공청사 및 체육문화센터에 수소연료전지를 설치하고, 5㎞의 수소배관과 통합안전운영센터 등 수소도시 인프라를 구축한다. 도시에서 발생한 유기성 폐기물을 활용해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자원순환단지 내 바이오가스 기반 수소생산시설도 구축한다.
당진시는 사람살기 좋은 클린 수소도시를 비전으로 제시했다. 국내 최대 석탄화력발전단지, 제철소, LNG기지(예정) 및 당진항 등이 입지해 수소생산 및 활용 여건이 양호하다. 7.5㎞의 수소배관과 통합안전운영센터를 구축하고 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실증, 수소에너지 홍보관도 구축한다.
보령시는 충청남도, 관련 기업 등과 5조원을 투자해 보령LNG터미널과 연계한 세계 최대 블루수소 밸류체인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8㎞의 수소배관과 통합안전운영센터 등 수소도시 인프라를 구축한다. 냉열 특화사업단지내 수소연료전지를 설치하고, 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실증단지도 조성한다.
광양시는 수소전용 항만터미널을 구축하는 등 수소경제 중심도시를 비전으로 제시했다. 공동주택, 수영장 등에 수소연료전지 설치, 수소기반 대중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수소버스, 수소청소차, 수소충전소 등을 구축하며 19㎞의 수소배관과 통합안전운영센터를 구축한다. 광양항 내 수소트랙터, 수소드론을 실증하는 수소모빌리티 특화사업을 추진한다.
포항시도 블루밸리산단내 수소연료전지산업을 위한 기반구축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 중이다. 15.4㎞의 수소배관과 통합안전운영센터 등 수소도시 인프라를 구축하고 블루밸리산단 내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 수소생산시설 실증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