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확진자 입국, 100% 못막나…음성확인서 낸 35명 '양성'

머니투데이 정기종 기자 2023.01.06 15:47
글자크기

5일 입국한 중국발 단기체류 외국인 PCR 검사 278명중 35명 확진
입국 전 사전검사 불구 12.6% 양성…당국 "잠복기 등 검사 과학적 한계 탓"

[인천공항=뉴시스] 정병혁 기자 =  중국발 입국자 코로나19 검사 의무화가 시행중인 6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상하이발 입국자들이 검역 지원 육군 장병과 코로나19 검사센터로 이동하고 있다. 2023.01.06.[인천공항=뉴시스] 정병혁 기자 = 중국발 입국자 코로나19 검사 의무화가 시행중인 6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상하이발 입국자들이 검역 지원 육군 장병과 코로나19 검사센터로 이동하고 있다. 2023.01.06.


코로나19(COVID-19) 사전검사에서 음성이 확인된 중국발 입국자의 10% 이상이 입국 후 국내 공항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 입국 전 검사 의무화로 중국발 확진자의 국내 유입 억제를 기대했지만, 첫 날부터 두자릿수대 양성률을 보이며 신규 유행국면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상태다.

6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지난 5일 국내 입국한 중국발 단기체류 외국인 중 35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전체 PCR 검사자 278명 중 12.6%에 해당하는 양성률이다.



이날 양성률은 전날(4일) 31.5%의 절반 이하다. 하지만 5일 양성자는 모두 입국 전 사전검사를 받았다는 점에서 비교가 불가능하다. 오히려 사전에 음성이 확인된 8명 중 1명꼴로 양성 확인되면서, 강력했던 조치 대비 기대 이하의 효과만 확인한 꼴이 됐다.

정부는 지난 2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입국 후 코로나19 검사를 의무화했다. 단기(90일 이내) 체류 외국인은 모두 공항 검사센터에서, 내국인과 장기체류 외국인은 입국 후 1일 이내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는 식이다.



이어 5일부터는 중국발 항공기에 탑승하는 모든 내국인과 외국인에게 입국 전 48시간 이내에 PCR 검사 또는 24시간 이내에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를 받고 음성확인서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오는 7일부터는 적용 국가를 홍콩과 마카오까지 확대한다.

가장 강력한 수준의 조치에 전 세계적으로 우려가 커진 중국발 확진자 유입에 대한 대응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졌다. 하지만 100%를 장담할 수 없는 검사의 과학적 한계와 잠복기 등의 변수에 일부 확진자는 걸러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홍정익 방대본 방역지원단장은 "PCR 검사 또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 모두 위양성률을 가지고 있고, 검사법 자체에도 한계가 있다"며 "검사를 받은 시점이 잠복기라면 당시에는 음성으로, 국내 입국 시에는 양성이 생길수도 있다. 과학적 한계에 따른 것이며, 충분히 예측 가능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35명의 확진자 가운데 음성확인서를 제출하지 않은 인원은 없었다. 확인서 위조 가능성 등도 제기됐지만, 방역당국 검토에서는 위조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다. 오히려 검사 과정에서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홍 단장은 "검사 과정에 오류가 있어도 양성인 분들이 음성으로 나올 수도 있다. 이는 검사기관의 신뢰도 또는 검사자 숙련도와 관련된 부분으로 중국 방역당국에서 해결해야 될 부분"이라며 "이부분은 중국과 협의해 개선을 요구할 수 있지만, 상황을 좀 더 두고 봐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해외유입 확진자 3개월만에 200명대…중국발 입국자 비중 80.6% '압도적'
[인천공항=뉴시스] 정병혁 기자 =  중국발 입국자 코로나19 검사 의무화가 시행중인 6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상하이발 입국자들이 검역 지원 육군 장병과 코로나19 검사센터로 이동하고 있다. 2023.01.06.[인천공항=뉴시스] 정병혁 기자 = 중국발 입국자 코로나19 검사 의무화가 시행중인 6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상하이발 입국자들이 검역 지원 육군 장병과 코로나19 검사센터로 이동하고 있다. 2023.01.06.
중국발 우려 증가 속 해외에서 유입된 확진자 역시 3개월만에 고점을 기록했다. 5일 확인된 해외유입 확진자는 258명이다. 지난해 10월2일(241명) 이후 약 3개월 만의 200명대다. 이 가운데 80.6%에 해당하는 208명이 중국에서 국내로 들어왔다. 해당 규모는 입국 후 공항에서 검사를 통해 확진된 단기체류 외국인 35명에 보건소에서 검사받은 중국발 내국인과 장기체류 외국인 확진자가 포함된 수치다.

이는 국내 전체 신규 확진자가 열흘째 전주 대비 감소세를 보인 것과 반대 흐름이다. 6일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5만6954명으로 전주 대비 8000명 이상 줄었다. 감소세 지속에 이르면 월말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비롯한 방역완화를 기대하던 국내 분위기는 중국발 변수에 급격히 얼어붙는 중이다. 그동안 대규모 국내 재유행 배경에 신규 변이 검출률 급증이 존재한 탓이다.

지난해 3월과 여름철 대규모 유행 역시 오미크론 변이와 그 하위 변이 검출률이 급증하면서 유행 규모가 눈덩이 처럼 불어났다. 지난달 21일(8만8154명) 9만명 가까운 확진자 발생을 비롯해 현재 진행 중인 겨울철 재유행 역시 BN.1 변이의 급격한 검출률 증가가 이끌었다. 12월 마지막주 BN.1 변이 검출률은 33.3%로 11월3주 7.6%에서 한달여 만에 4배 이상 뛰었다. 38.2%로 가장 높은 검출률을 보인 BA.5를 바짝 쫓는 중이다.

12월4주 기준 중국발 입국 확진자의 변이 분석에서 가장 높은 검출률을 보인 변이는 BA.5가 77%, BN.1이 1.5%다. 하지만 국내 검출률이 낮은 BF.7 비중이 21.5%나 되는데다, 확인되지 않은 신규 변이의 유입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중국 정부가 명확한 통계를 공개하지 않고 있는 점도 변수다. 현재 조치의 중국발 확진자 유입 억제를 기대하기 보단 새 유행 국면에 대비한 전략을 고민해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오는 배경이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금의 방역 조치가 중국발 확진자 유입을 억제하거나 전파 시간을 늦추는 효과는 있겠지만 완벽한 방법이라고 보기 어렵고 언제까지 계속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며 "향후 어떤 형태로든 새 변이가 유입되고 지금보다 유행이 더 커진다면 우린 어떤 방역 정책으로 대응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