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오 기업 중 가장 큰 주가 낙폭을 보인 곳은 한국비엔씨 (4,030원 ▲60 +1.51%)(전체 4위)다. 2021년 12월30일 2만6647원(수정주가 반영 기준)이었던 이 회사의 주가는 지난달 29일 4650원으로 지난해 장을 마감했다. 82.6%의 주가 하락률이다. 한국비엔씨는 지난 2021년 대만 골든바이오텍의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 '안트로퀴노놀'의 국내와 러시아, 우크라이나, 터키 판매 권리를 확보로 주목 받았다. 이에 같은 해 상반기 말 8000원을 밑돌던 주가는 10월 7만원 수준까지 폭등했다.
엔지켐생명과학 (1,684원 ▼15 -0.88%)은 81.9%(9155원→1655원)의 주가 하락률을 기록했다. 지난 2020년 5월 국내 두번째로 코로나19 치료에 임상(2상)을 승인 받으며 기대감이 쏠렸던 기업이다. 국산 치료제 가운데 첫 FDA 2상 성공 주자 가능성에 2021년 2월 주가가 2만원을 훌쩍 넘어섰지만, 같은해 8월 임상 실패 소식에 주가 하락이 본격화 됐다.
아이큐어 (3,285원 ▼65 -1.94%)는 모더나 백신 개발 성공 전부터 수입·공급 계약 후보로 거론되면서 2020년 3월 1만원 이하였던 주가가 이듬해 2월 3만원을 넘어섰다. 회사 역시 백신 공급을 위한 콜드체인 구축 계획 등을 적극적으로 밝혔지만, 결국 관련 사업이 무산되면서 주가가 미끄러지기 시작했다. 지난해 가장 높은 주가를 기록한 날이 개장일인 1월3일(장중 1만4717원)이다. 연간 주가 하락률은 81.4%(1만3737원→2555원)다.
바이오 기업 중 두번째로 큰 주가 하락을 겪은 메지온 (26,050원 ▲50 +0.19%)은 코로나19 관련주는 아니다. 핵심 파이프라인의 개발 실패가 독이 된 경우다. 메지온의 주가는 폰탄수술 환자 치료제 '유데나필'의 FDA 허가 기대감에 지난해 1월 7만6000원대 주가를 형성했다. 하지만 3월 임상 설계에 대한 FDA 지적에 추가 임상이 필요해지면서 고배를 마셨다. 이후 급락하기 시작한 주가는 2021년 말 종가 대비 82.1% 낮아진 상태다. 마땅한 매출 기반이 없는 신약개발 바이오기업의 위험부담을 극명히 보여준 사례로 꼽힌다.
업계는 해당 사례들이 각 기업별 타격에 그치지 않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신약개발을 위한 외부자금 투자 유치가 필수적인 바이오업종의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는 이유다. 특히 지난해 벤처캐피탈(VC)의 바이오업종 투자는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상태다. 미국발 금리인상과 글로벌 경기침체가 가장 큰 배경이다. 올해 역시 같은 악재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업종 투자매력 상승을 위한 경쟁력 제고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승호 데일리파트너스 대표는 "코로나 팬데믹 기간을 돌아보면 2020년 가장 많은 수혜를 받고, 주가가 제일 많이 올랐던 게 바이오헬스케어 종목"이라면서도 "코로나 백신 또는 치료제 개발을 선언한 기업 중 진단분야 외에는 약속을 지킨 기업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상업화나 사업성 입증에 성공한 사례가 거의 없어 결과론적으로 투자자 신뢰를 많이 훼손했다"면서도 "다만 업종 내 혁신 주도가 가능한 기술을 연구 중인 기업들도 많은 만큼, 그런 기업들은 다시 큰 기회를 맞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