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81%, 중국에 부정적…56개국 중 '반중정서' 1위"

머니투데이 박광범 기자 2022.12.27 21:40
글자크기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를 상대로 한 중국 관련 여론조사 결과./자료=디플로맷 캡쳐인도-태평양 지역 국가를 상대로 한 중국 관련 여론조사 결과./자료=디플로맷 캡쳐


한국인의 '반중(反中) 정서'가 세계 56개국 중 가장 강하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24일(현지시간) 미국 외교 전문매체 '디플로맷'에 따르면 중앙유럽아시아연구소(CEIAS) 등이 참여한 국제연구진은 지난 4월11일부터 6월23일 사이 한국 성인 남녀 1364명을 대상으로 중국에 대한 인식 등을 묻는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중국을 '부정적' 또는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답한 한국인 응답자 비율은 81%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 56개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2위인 스위스(72%), 3위 일본(69%)과 비교해 10%포인트가량 높다.



앞서 2015년 미국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가 시행한 비슷한 조사에서 중국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한국인의 비율은 37%에 불과했다. 이를 감안하면 한국인의 반중 정서가 최근 몇 년 새 급격히 강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디플로맷은 한국에서 반중 정서가 이처럼 강해진 데는 중국발 미세먼지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한국인이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한 특징은 '글로벌 자연환경에 대한 중국의 영향'이었다는 이유에서다. 디플로맷 측은 대부분 국가에서 '중국의 군사력'을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과 달리 유독 한국에서만 이러한 결과가 도출됐다고 했다.



이 밖에 한국인들은 다른 국가들과 달리 '중국의 기술'에도 부정적인 편이었다. '중국인'에 대해서도 77%가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중국의 코로나19(COVID-19) 대응과 중국이 개발한 백신에 대한 평가에서도 부정적 인식을 보였다.

한편 한국인들이 중국 하면 떠오르는 단어는 '코로나19'가 가장 많았다. 이 밖에 '역사 왜곡' '더러움' '가짜' '오염' 등 부정적인 단어들이 주로 언급됐다. 다만 한중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는 한국인이 중국과 관련해 연상하는 단어에 포함되지 않았다.

디플로맷 측은 "연령별로는 20~30대의 반중 정서가 가장 강했으며, 경제적으로 여유로울수록 반중 정서가 약하게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