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SK이노베이션과 성일하이텍이 폐배터리 금속 재활용 합작법인(JV)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SK이노베이션이 독자 개발한 수산화리튬 회수 기술과 성일하이텍의 니켈·코발트·망간 회수 기술을 결합한 JV를 내년 중 설립하고 2025년 공장 가동을 개시한다는 구상이다.
SK이노베이션은 대내적인 폐배터리 밸류체인 구축에도 힘쓰고 있다. SK그룹이 추진하는 폐배터리 순환경제 플랫폼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SK이노베이션 외에도 SK온, SKC, SK에코플랜트, SK렌터카 등 참여한다.
포스코그룹도 성일하이텍과 관계가 깊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8월 폴란드에 연산 7000톤 규모의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 PLSC를 준공했다. 이곳 공장은 초기 단계부터 성일하이텍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지어졌다. 포스코홀딩스는 성일하이텍과 별개로 중국의 화유코발트, GS에너지 등과 폐배터리 재활용 JV 포스코HY클린메탈, 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 등을 설립했다.

비철금속 대표 기업으로 아연·납 등을 생산해온 고려아연은 폐배터리를 통해 배터리 생태계에 진입한 기업이다. 특유의 유가금속 회수 기술을 바탕으로 폐배터리 시장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 지붕 두 가족'이라 불리는 같은 그룹의 영풍도 최근 세계 최초로 건식용융 방식의 폐배터리 재활용 파일럿(시험) 공장 가동에 돌입하며 폐배터리 시장에 본격 진입했다.
현대차그룹은 배터리 내재화를 추진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으나, 폐배터리 시장에서는 재사용 사업을 중심으로 힘을 키워가고 있다. 전기차 판매과정에서 폐배터리 확보가 유리하다는 이점을 살려 전기차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로 재사용하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최근 한화솔루션·OCI 등과 잇따라 손을 잡았다.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제조업체 엘앤에프의 존재감 역시 폐배터리 시장에서 커지고 있다. 미국의 폐배터리 재활용업체 레드우드머티리얼즈와 북미 JV 설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두산에너빌리티와도 양극재 생산하는 과정에서 폐파우더를 통해 리튬을 추출하는 사업 모델을 발굴했다. 이를 통해 한·미 양국에서 기존 소재 역량 강화에 속도를 내겠단 전략이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기하급수적으로 쏟아질 폐배터리 관리 역량을 갖추지 못한다면 전기차·배터리를 친환경 사업영역이라 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탄소중립 요구와 ESG경영 확대 등에 힘입어 새 배터리 제작에 필요한 광물 수요를 광산이 폐배터리에서 추출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이에 따라 관련 시장도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폐배터리 생태계는 배터리 생태계 확장을 의미한다"면서 "아직은 배터리·소재 기업이 주를 이루지만, 점차 철강·비철금속·석유화학·건설 등에서 도전장을 내는 기업이 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