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많고 집 없는 가계, 금리 뛰면 소비 더 많이 줄인다

머니투데이 유효송 기자 2022.12.07 13:28
글자크기
서울 강남구 대모산에서 바라본 강남권 아파트의 모습/사진=뉴스1서울 강남구 대모산에서 바라본 강남권 아파트의 모습/사진=뉴스1


최근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확대가 향후 민간소비 둔화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소득과 부채수준 등에 따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증가가 소비선택에 미치는 영향이 차등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약계층으로 인식되는 고부채·저소득, 고부채·비(非)자가 가구의 소비 감소폭이 평균 수준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이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사용해 가계를 소득 및 부채수준, 자가 소유여부에 따라 그룹화하고 금리 상승시 소비감소의 이
질적 효과를 실증분석한 결과 전체 가구 기준으로 DSR이 1%포인트(p) 증가할 때 평균적으로 0.37%의 가계소비 둔화가 초래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계는 원리금상환을 일종의 필수지출(고정비용)로 인식해 DSR 증가시 비필수적 재화와 서비스를 중심으로 소비를 축소하는 경향이 있다.



DSR 상승에 따른 소비감소 효과는 가계 특성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DI(부채대비소득비율) 상승시 소비효과의 경우는 DI가 일정수준(약 200%)을 넘어서면 소비 변화의 방향이 달라지는 모습이 관측됐다.

한은이 소득과 부채, 자가 소유 여부에 따라 그룹을 나눠 조사한 결과 계층별로는 고부채-저소득, 고부채-비자가 가구의 소비가 크게 제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부채가 많은 저소득 가구(고부채 및 저소득)는 DSR이 1%포인트 상승 할 때 소비가 0.47% 감소해 전체 가구의 소비감소 폭(-0.37%)을 크게 웃돌았다. DSR 1%포인트 상승시 고부채 및 중·고소득 가구의 소비 감소폭은 0.46%로 고부채 및 저소득 가구(-0.47%)와 양적인 차이는 없지만, 저소득층의 높은 필수적 소비 비중을 감안하면 질적인 측면에서는 소비 위축 충격이 고부채 및 저소득 가구에서 더 큰 것으로 평가됐다.

한편 부채 수준은 감안하지 않고 소득 기준만 적용할 경우에는 DSR이 1%포인트 증가할 때 저소득 가구의 소비는 0.28% 줄어들고 중·고소득 가구의 소비는 0.42%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저소득층의 경우 필수소비 이외의 재량적 소비 비중이 낮아 추가적 소비 감축이 어려운 상황임에 반해, 중산층 이상은 재량적 소비 비중이 높아 소비조정 여력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자가 소유 여부에 따라 구분해 살펴보면 부채가 많으면서도 주택을 보유하지 않은 가구(고부채 및 비자가)는 DSR이 1%포인트 상승할 때 소비가 0.42% 감소해 여타 가구에 비해 소비위축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고부채 및 자가 가구중에서도 원리금 상환부담이 높은 경우(DSR≥20%) 에는 DSR 상승에 따른 소비감소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컸다. 반면 DSR 수준이 낮은(DSR<20%) 고부채 및 자가 가구의 경우 소비감소 효과가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유 중인 주택을 활용해 소비 재원을 마련할 수 있는 여지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은 관계자는 "향후 가계의 금융부담이 가중될 경우 고부채 및 저소득 등 전형적인 취약계층의 소비는 필수적 소비를 중심으로, 중산층 이상의 경우 재량적 소비를 중심으로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정책설계가 필요하다"며 "중·장기적으로 가계부채를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하는 것은 금융안정뿐만 아니라 소비 평활화를 통한 경기 안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