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현재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된 코인 중 일부는 증권성이 있다고 판단받을 경우 STO로 분류돼 별도의 거래채널을 통해야 할 수도 있다. 온라인으로만 발행·보관·거래되는 STO는 기존 전통적인 증권보다 발행 비용이 저렴하고 실물 가치에 근거해 다른 디지털 자산보다 리스크가 낮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능 검증은 신한투자증권 블록체인부와 람다256이 함께 진행한다. 두나무 계열사인 람다256은 블록체인 플랫폼 루니버스 기반업체다. 주로 NFT, DID, Wallet 등의 사업과 이를 위한 블록체인 컨설팅 등 웹3.0(Web3.0) 디지털 전환 기술 솔루션을 제공해왔따.
이를 토대로 신한증권은 증권형 토큰 플랫폼 구축 사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상품, 예탁, 결제, 법무 등 다양한 영역의 실무 전문가가 관련 제도와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내부 시스템을 설계할 예정이다.
김장우 신한증권 디지털그룹장은 "증권형 토큰 기술 검증과 TF를 통해 관련 인프라를 구축할 것"이라며 이어 "증권형 토큰 등 블록체인 기반의 신규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앞으로도 유망 기업들과 다양한 실험을 늘려가겠다" 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