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코스피 장 초반 혼조세…견조한 미국 11월 고용 보고서 여파

머니투데이 홍재영 기자 2022.12.05 09:13

글자크기

 /사진=임종철 디자인기자 /사진=임종철 디자인기자




미국 11월 고용보고서의 호조 여파로 미국 증시가 혼조세를 보이자 한국 증시도 변동성이 늘었다. 상승 출발했던 코스피는 장 초반 보합권에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일(현지 시각)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11월 비농업 일자리는 26만3000개 증가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를 상회한 수치다. 실업률은 전월과 같은 3.7%를 기록했다.

5일 오전 9시9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41포인트(0.02%) 오른 2434.74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550억원, 기관은 175억원 순매도 하고 있고 개인은 732억원 매수 우위를 보이는 중이다.



업종별로 의료정밀이 1%대 오르고 있고 섬유의복, 유통업, 통신업, 화학, 보험 등은 강보합 중이다. 보험, 증권, 금융업, 운수창고, 건설업, 비금속광물, 종이목재 등은 약보합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 중 네이버(NAVER (202,500원 ▼1,500 -0.74%))가 1%대 오르고 있고 삼성전자 (63,000원 ▲700 +1.12%), 카카오 (61,400원 ▼200 -0.32%)는 강보합 중이다. SK하이닉스 (87,300원 ▼1,200 -1.36%), 삼성SDI (719,000원 ▼27,000 -3.62%), 현대차 (177,700원 ▼2,800 -1.55%), 기아 (77,600원 ▼800 -1.02%) 등은 약보합 하는 가운데 삼성바이오로직스 (797,000원 ▼1,000 -0.13%)가 1%대, LG에너지솔루션 (569,000원 ▼6,000 -1.04%), LG화학 (690,000원 ▼22,000 -3.09%)이 2%대 내리는 중이다.

한편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54포인트(0.35%) 오른 735.49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263억원 순매도 하고 있고 기관은 17억원 순매수 중이다. 개인은 271억원 매수 우위를 보이는 중이다.

업종별로 디지털컨텐츠가 1%대 오르고 있고 IT종합, 오락문화, 방송서비스, 인터넷, 소프트웨어, 통신장비, 반도체, 음식료담배, 섬유의류, 제약, 의료정밀기기 등은 강보합 중이다. IT부품, 종이목재, 금속, 건설, 유통, 운송, 금융 등은 약보합 중이며 기타제조는 2%대 내리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 중 스튜디오드래곤 (72,900원 ▲1,200 +1.67%)이 2%대, 카카오게임즈 (41,200원 ▲200 +0.49%), 천보 (227,500원 ▼2,500 -1.09%)가 1%대 오르고 있고 에코프로 (456,000원 ▲1,000 +0.22%), 펄어비스 (46,250원 ▲3,600 +8.44%), 리노공업 (136,600원 ▲700 +0.52%) ,셀트리온제약 (92,700원 ▼500 -0.54%) 등은 강보합 하고 있다. 에코프로비엠 (233,000원 ▼2,000 -0.85%), 셀트리온헬스케어 (63,300원 ▼1,100 -1.71%) 등은 약보합 중이며 엘앤에프 (268,000원 ▲18,000 +7.20%)는 2%대 내리고 있다.


지난 주말 뉴욕 증시는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강하게 나오자 공격적 금리 인상 지속 우려 등의 여파로 혼조 마감했다.

2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34.87포인트(0.10%) 오른 3만4429.88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4.87포인트(0.12%) 내린 4071.70으로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지수는 20.95포인트(0.18%) 내린 1만1461.50으로 장을 마쳤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