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진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차는 29일 SK온과 북미 전기차 배터리 공급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며 "SK온은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전기차 공장에 2025년 이후 배터리를 공급할 계획이며 물량, 시점, 협력 형태 등 구체적인 사안은 추후 논의 예정이다"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대차그룹은 미국에서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HMMA), 기아 조지아 공장(KaGA), 현대차그룹 신공장(HMGMA)에서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이라며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의 세액공제 요건을 맞추기 위해서는 현지 배터리 공장이 필수"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현대차그룹은 주로 SK온, LG에너지솔루션으로부터 배터리를 조달하고 있으며 일부 중국 물량에 한해 CATL로부터 배터리를 공급받고 있다"며 "LG에너지솔루션과는 인도네시아에서 합작공장을 2024년 완공 목표로 건설 중이며(10GWh) 미국에서도 협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CATL과도 현재 경형 전기차 모델, 비 전용 플랫폼(E-GMP) 채택 모델에서 중국 내 전기차 출시가 늘어나면서 셀투팩(CTP, CellTo-Pack), E-GMP 모델로 점차 조달 범위를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추정했다.
김진우 연구원은 "전기차 경쟁력은 상품성 있는 전기차 모델의 출시, 효율적인 전기차 공장의 증설, 그리고 품질 좋은 배터리의 안정적 확보에서 나온다"며 "특히 미국에서는 IRA 세액공제를 달성 할 수 있는 배터리는 프리미엄을 주고서라도 확보할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