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폐관리 철거비는 다시 해체사업비 4702억원과 폐기물처리 시설비 765억원으로 나뉜다. 폐기물 처분비는 방사성 폐기물 처분비 3170억원과 비방사성 폐기물 처분비 89억원 등으로 구분된다. 정부는 2년에 한 번씩 물가상승률과 할인율 및 이자율을 반영해 원전 해체 비용 충당금을 고시하고 있다. 직전 고시분은 8129억원인데, 이번엔 597억원(7.3%) 늘어난 셈이다.
여기에 우리나라의 △운영 중 24기 △운영 중단 2기 △건설 예정 4기 등 총 원전 수 30개를 곱하면 총 26조원 규모의 원전 해체 충당금이 나온다. 국내에서만 30조원 규모에 가까운 원전 해체 시장이 형성될 것이란 얘기다.

산업부 관계자는 "원전 해체 비용 충당금에는 물가 상승률과 할인율, 폐기물 처리비용 상승률 등 주요 변수 등이 반영된다"고 설명했다.
기간으로 보면 원전 해체에는 대개 15년 정도가 소요된다. 원전 해체 과정에서 쏟아지는 방대한 방사성 폐기물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후핵연료 반출 등에 5년, 비(非)방사성 시설 철거와 방사성 시설 제염·해체 등에 8년, 이후 부지 복원에 2년이 필요하다. 해체 절차는 대개 사용후핵연료 냉각 및 반출→제염·해체→비방사성시설 철거→폐기물처리시설 구축→방사성시설 철거→부지 복원 순이다.
원전에서 나오는 방사성 폐기물은 사용 후 핵연료 등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과 원전 운영과정에서 나온 작업복과 부품 등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등으로 구분된다.
현재 사용 후 핵연료는 원전 내 습식·건식저장 시설에 보관된다. 이 같은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에 대해선 관리기술 확보 및 처분을 위한 계획 수립 작업이 진행 중이다. 중저준위방사성 폐기물은 보관용 드럼에 넣어 경북 경주의 중·저준위 방폐물 처분시설에 보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