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서 장영진 1차관 주재로 관계부처와 기업, 공공연구기관(대학·출연연), 전문가 등이 참여한 '민관 기술혁신 얼라이언스 회의'를 개최해 이같은 정책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장 차관은 이날 회의에서 "기술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 과정에서 타기팅을 잘해서 사회적 수요가 많은 과제를 선점해야 한다"며 "사업화의 원천이 되는 기술개발은 공급자 관점이 아닌 국익과 소비자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차관은 또 기업과 연구기관 간 정보 교류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좋은 기술을 가지고 있어도 기업이 기술의 존재를 모르는 경우도 있었다"며 "대학, 기업, 정부, 각종 연구기관이 다함께 동일한 목표를 설정하고 노력할 때 연구·개발 생태계가 활성화되며 국가 전체의 발전이 담보된다"고 했다.
산업부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과 함께 마련한 이날 회의는 산·학·연·관이 함께 우리 산업의 혁신과 성장을 위한 기술사업화, 공공연구기관 창업사업화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하고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열렸다.

이 방안은 범부처 기술사업화촉진 종합계획의 초안 성격으로 지난 6월 시작된 산업부, 과기부, 교육부, 중기부 등 관계부처 태스크포스팀(TF)를 통해 마련됐다. 앞으로 추가적인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오는 12월 범부처 '제8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으로 확정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이를 위해 R&D 프로세스 전 과정을 사업화 중심, 시장성과 지향형으로 개편해 기업이 활용가능한 좋은 기술을 확보할 방침이다. 비즈니스 모델을 반영한 기업간 경쟁형 기획 방식을 도입하고 수요-공급기업들이 공동참여하는 최종제품(end product) 중심의 통합형 과제를 확대하는 게 골자다.
또 시장이 필요로 하는 혁신적 투자를 속도감(Speed-of-business) 있게 추진하기 위해 20여년 만에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 제도를 전면 개편할 계획이다. 기술이전방식에 양도를 추가하고 공공연구기관이 기술의 특성, 현장 수요, 기업의 활용계획 등을 고려해 통상실시·전용실시·양도 중 기술이전 방식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위해 오는 2023~2025년간 3조원 규모의 민관 합동 기술사업화 지원 펀드를 조성하고 대·중견기업이 혁신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기업형 벤처캐피털이 운용하는 펀드를 3000억원 이상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아울러 딥테크·국가첨단전략기술 등 경제적·산업적 임팩트가 큰 프로젝트에 집중 투자할 예정이다. 이밖에 신산업 파이프라인으로서 공공연구기관의 자체 창업사업화를 가속화하고,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지원 역량 제고를 위한 유인체계를 강화한다.
이외에도 기술사업화 생태계를 구성하는 기술거래기관, 기술평가기관, 사업화 전문회사 등의 역량을 높이는 등 종합서비스 기관을 육성하고 지역 기술사업화 네트워크 및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도 구축할 방침이다.
장 차관은 "우리나라의 산업대전환을 위해선 산-학-연-관의 협력과 상호 보완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며 "정부도 혁신주체들이 자발적으로 투자하고 협업할 수 있도록 자율과 유인에 기반한 정책과 제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